CEO 칭기스칸 - 유목민에게 배우는 21세기 경영전략 SERI 연구에세이 2
김종래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마디즘 [nomadism] :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철학적 개념. 노마드(nomad)는  유목민이라는 뜻으로 거주지를 정하지 않고 물과 목초를 따라 가축을 몰고 다니며 이동하는 민족을 뜻한다.

서양의 나폴레옹이나 알렉산더 대왕보다 더 넓은 영토를 정복하고 통치했음에도 칭기스칸은 우리에게 낯선 인물이다. 칭기스칸은 지도자로서 평가받기보다는 침략자, 약탈자, 야만인으로 통했던 것이 사실이다. 나 또한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면서 다른 나라를 침략하고 약탈하는 이미지로 그를 먼저 떠올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칭기스칸이라는 인물과 몽골 사회에 대한 새로운 발견으로 읽는 내내 흥미진진했다.

수평적인 마인드, 속도의 숭배자, 열린 사고, 능력에 따른 분배, 기술자 존중, 법치주의, 역참제, 천호제 등의 시대를 앞서는 안목과 전술과 전략이 있었기에 777만 평방 킬로미터라는 유럽과 아랍과 아시아를 정복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실크로드를 개척함으로써 유럽과 중국을 잇는 교역을 가능하게 했다. 칭기스칸에게는 그를 도운 4준마와 4맹견으로 불리는 충직한 부하들이 있었다고 한다. 너커르(평생동지)와 안다(평생친구)로 불리는 그들과의 인간적인 믿음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었다.

디지털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 칭기스칸 시대 역참제의 지점과 지점을 잇는 말을 대신해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네트워크 속에서 전자들이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정착문명의 긴 시대가 끝나고 드디어 유목 이동문명 시대가 시작되고 있는 것일까?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앉은 자리에서 성벽을 쌓고 가진 것만을 지키면 되는 시대는 끝났다. 새로운 것을 끊임없이 찾고 남들보다 빠르게 움직여야 살아남을 수 있다. 험난하지만 한 번 떠나볼 만하다는 자신이 생겼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토마토 2007-11-17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는 징기즈칸하면
징~징~ 징기스칸~ 하늘의 별처럼 모두를 사랑하고~~ ♪
라는 노래가 떠오릅니다.ㅋㅋ
어릴때 들었던 노랜데도 하도 멜로디가 인상적이라서 아직도 기억나네요.ㅋㅋㅋ

Hani 2007-11-18 23:17   좋아요 0 | URL
얼마 전에 다시보기로 칭기스칸 편을 봤었는데, 패널로 나온 출판 평론가 표정훈씨가 징~징~... 그 노래가 먼저 생각난다고 하던데요ㅋㅋ 무슨 노래인지 한 번 찾아봐야겠어요^^

파란토마토 2007-11-17 2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답방 왔습니다.
알라딘에서 티스토리까지 먼길 납셔주셔서 감사합니다^^
방명록 쓰려고 했는데 로그인의 압박에 부딪혀서..댓글로 인사합니다. :)

Hani 2007-11-18 23:16   좋아요 0 | URL
아무렴 어떤가요..?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