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임에도 나는 신작이 발표되고 나서도 굼뜨게 책을 구입하였고, 택배 상자에서 꺼내어 목차만을 확인해 본 후에 책꽂이도 아닌 방바닥에 쌓인 다른 책들 사이에서 며칠을 묵혀 두었다. 이번만큼은 냉큼 읽어버리기가 겁이 나서였다. 근래에 그 분의 에세이들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숨이 막혔다고 해야하나.(좀 오래된 에세이였다) 고집쟁이 할머니. 내 동생이 붙인 박완서님의 별명이다. 한참 어른이신 그 분의 생각이 자꾸 고루하게 느껴졌고, 교훈적인 끝맺음은 학창시절 독후감 쓰기에 어울렸기에 읽다 말고 중간에 덮어버리기도 했다.

장편 <그 남자네 집> 이후에 오랜만에 만난 단편집 <친절한 복희씨>. 그 속의 8편의 단편은 나의 근심들을 한 방에 날려줄 만큼 통쾌했다. 그리 과장되지도 축소되지도 않은, 우리 시대의 노년의 일상들을 담담하게 그려냈다. 나는 그 속에서 나의 할머니,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았고, 아빠, 엄마의 모습도 보았다. 그리고 앞으로 내가 겪게 될 미래의 모습도 보았고, 내가 감당해야할 짐의 무게 또한 느꼈다. 웃음 뒤에 씁쓸함을 느껴졌고, 그 씁쓸함 뒤에 살짝 안도감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 주인공들의 아들, 며느리를 욕하다가도 그 모습이 나의 미래라면 어떡하지하고 불안감에 휩싸이기도 했다.

박완서님의 소설을 읽을 때마다 깨닫고 싶지 않은 인간의 아니 나의 위선을 들킨 것만 같아 한없이 부끄러워진다. <그리움을 위하여>에서 사촌동생을 나보다 깔보며 그에게 베풀고 있다고 착각하는 모습에서, <마흔 아홉살>에서 남들에게는 칭찬받은 효부이지만 자신의 시아버지에게는 모진 모습에서, <대범한 밥상>에서 친구의 스캔들이 궁금해서 확인하고 싶어하는 모습에서, <친절한 복희씨>에서 미운 남편의 중풍 수발을 하면서 그가 빨리 죽기를 바라는 모습에서 움찔했다. 나보다 좀 못하다 싶으면 은근히 무시하면서 아량을 베푸는 척하고 알아주기를 바라는, 남들에게 착하다는 소리 듣고 싶어서 착하게 행동하지만 뒤에서 호박씨 까는 그런 나의 이중성을 소설을 통해 마주 대할때면 스스로를 참아내기가 고통스러워진다.

"모든 인간관계 속엔 위선이 불가피하게 개입하게 돼 있어. 꼭 필요한 윤활유야." "고맙다, 위로해줘서." (p.107)

이 대목에서 나는 나도 모르는 안도감과 함께 면죄부를 받은 것 같이 마음이 가벼워졌다. "너 그렇게 살면 안돼" 라는 호통이 아니라 "인간은 다 그런면을 가지고 살아가. 나도 그런걸 뭐" 라고  얘기한다. 그렇다고 그렇게 살라고 얘기하지는 않는다. 다만 스스로를 너무 옭아매지 말라고. 솔직한 것이 죄냐고. 때론 그런 답답함을 풀 수 있어야하지 않느냐고 작가는 위로한다. 책의 마지막의  "웃을 일이 없어서 내가 나를 웃기려고 쓴 것들이 대부분이다. 나를 위로해준 것들이 독자들에게도 위로가 되었으면 한다." 는 작가의 말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특히 노년의 어른들에게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다.

아직도 녹슬지 않은, 아니 더욱 노련해진 작가의 재치와 유머를 다음 작품에서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