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 시절 - Art 020
마쓰오 바쇼 외 지음, 가츠시카 호쿠사이 외 그림, 김향 옮기고 엮음 / 다빈치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고요함이여,
바위에 스며드는
매미의 울음.
글로 그린 그림과 다를 바 없는 하이쿠를 맛보게 된다면 그와 꼭 맞는 그림과 연결시키고 싶다는 욕망을 가지지 않는 것이 되려 힘들 것이다.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시절]은 전국시대가 끝난 이후 펼쳐진 태평성대의 중심을 뒷심 삼아 우키요에라는 이름을 가진 시대의 병풍을 불러들여 그런 편집자적 욕망을 마음껏, 그리고 정성스럽게 펼쳐보인 결과물이다.
사계라는 주제를 따라 완고하게 진행되는 그 한 수 한 수 속에서 그림은 글을 드러나게 만들고 글은 그림을 움직이게 만든다. 차분하게, 그러면서도 결정적인 이미지의 화학작용을 꿈꾸는 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결합의 연쇄들은 편집자, 혹은 가상의 독자라는 다른 이름의 편집자가 가졌을 욕망을 충분히 충족시켜준다는 점에서 그 단순하지만 정석적인 의도에 부응하고 있다. 그리고 온전하게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어떤 과함도, 삐져나옴도 없이.
그런 의미에서,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시절]에선 욕망은 있되 욕심이 없음을 느낀다. 이 책이 두 명의 다른 필자의 힘을 빌어 풀어내는 나긋나긋한 설명을 통해 하이쿠와 우키요에를 처음 접하는 이도 그 낯설지도 모를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끔 친절한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그것은 충실함이다. 자기완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내면의 호수로 뛰어드는 개구리를 덤덤히 바라보는 하이쿠 시인처럼, 여기서 느껴지는 것은 절제된 욕망의 적극적 자기표상이 보여주는 성숙하고 예의바른 유희에의 초대다. 그렇기 때문에 [하이쿠와 우키요에, 그리고 에도시절]의 미덕은 마치 하이쿠 그 자체와도 같다.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단정하면서도 친숙한, 그러면서도 고아한 그 무언가처럼.
계절과 풍광과 심상을 표현해야 하는 하이쿠에선 일본적 처연함과 허무함, 그리고 그와 더불어 장르 자체가 가지는 유희성과 그를 따르는 낙천적 기운, 찬탄과 기쁨까지 맛볼 수 있다. 때로는 비극, 때로는 초탈, 때로는 해학을 보여주는 하이쿠의 다양한 면모는 짧고도 변화무쌍하며 그래서 언어유희에 더없이 적합하다는 측면에서 그 폭넓은 수용성을 보여준다. 압축된 삼라만상을 5-7-5의 엄격한 틀속에서 담아내야 했던 이 짧은 시는 필연적으로 고도의 이미지성을 가지게 된다. 그것은 정형시가 빚어내면서 쌓아온 절제되고 정제된 시어가 마침내 도달해야 했던 운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