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의 규방철학 바리에테 4
D.A.F. 사드 지음, 이충훈 옮김 / 비(도서출판b)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끝에 실려있는 가라타니 고진이 쓴 작품 해설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된다. '나는 사드를 논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이것은 접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사드의 저작이라곤 거의 이 한 권만을 꼽을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의 현실에도 해당되는 말일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그토록 흔하게 인용하곤 있지만 정작 온전하게 접하진 못하고 있는 사드라는 인간과 그의 세계는 도대체 무엇이라고 해야할 것인지, 다시 묻는 것은 썩 온당치 않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 질문은 너무 자주 행해져 왔기 때문이다. 

[규방철학]은 역자의 말과 [규방철학] 본편, 그리고 가라타니 고진의 해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방철학] 본편 안에는 '프랑스인이여, 공화국의 시민이 되기 위해 조금만 더 노력을'이라는 제목의 소책자가 실려있다. 여기서 보여지는 밀고 당김과 역전되는 역할극에 대한 예술적인 경지의 가학-피가학적 광경 보다는 선생들의 교육을 충실하게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행동들을 본능적으로 수행하는 으제니의 고분고분한 모습이 사디즘의 순진했던 고전시대를 느끼게 만드는데 사드 자신의 정치적 견해가 당시 문학양식 특유의 장식적이고도 장황한 설명으로 이뤄져 있는 소책자가 들어가 있다는 것으로도 짐작 가능하거니와 끼울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접합을 연구하며 묘사되는 난교의 풍경들이 양념 치듯 간간이 나오는 반면 상대적으로 도덕과 이성에 대한 사드 자신의 이론들이 현란한 수사의 장광설로 펼쳐지는 이 책의 흐름은 다분히 정치적인 사드 자신의 사상에 대한 개인적 욕구가 반영되어 만들어졌다는 걸 알 수 있다.

그의 글이 보여주는 자유는 현학적이고도 거침없는 상상의 영역과 동의어다. 그는 보통 사람이라면 혐오할 수밖에 없는 영역의 행위에 쾌락의 왕관을 씌워서 온갖 수사를 동원해가며 호들갑스럽게 찬사를 퍼붓는다. 그 방법론이 되려 과장과 망상으로 이뤄진 일종의 독임을 알아챈 이들은 과장스럽게 구축된 혼돈의 세계 속에서 인간의 가능성을 쾌락을 통해 찾아내려 하는 사드가 일종의 골방혁명가였음을 간파해냈다. 그의 혼돈은 실로 혼돈 그 자체이며 그 도발 자체에 가치가 있는 것이기에 이론적인 설명의 불가능함을 역설하는 가라타니 고진의 분석은 예리하다. 과연 지고의 가치인 '쾌락'을 어떻게 해야 이론으로 만들 수 있겠는가. 쾌락은 플라톤이나 토마스 아퀴나스로 설명되는 영역이 아니다. 그것은 충분히 천박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노골적이며 끈적이는 타액과 타액의 교환이 끊임없이 이뤄져야 하는 세계다. 개구리의 행위와 인간의 행위가 뭐가 다른지 어떻게 구분해야 하겠는가. 그렇게 끈적거리고 금기투성이며 궁극적으론 확신할 수 없는 것들을 다루는 작업이었기에 사드는 인생의 절반 가까이를 구속된 상태에서 보내야 했던 것이리라. 그럼에도 그의 글들은 지하를 통해 하나의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그런데 그가 그렇게까지 광기에 절은 풍경에 천착해야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실상 현실은 이미 사드의 상상을 넘어서는 세계였기 때문이리라. 혁명으로 인해 구체계가 부숴지고 로베스피에르의 압제가 날뛰던 세계. 로코코풍의 부패한 일탈들과 권력에 의한 민중의 도륙, 그리고 민중에 의한 권력의 도륙이 마구 뒤엉켰던 시대. 그의 글이 아직도 우리에게 충격을 줄 수 있다면 그것은 그 폭력의 광경들이 말그대로 혼돈을 나타낼 수 있는 가장 분명한 경험들의 댓가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에 나온 이 번역판은 말그대로 완역본이라고 불러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사드의 원저작을 삭제 없이 그대로 뽑아냈다. 특히 18세기 프랑스 문학 전공자인 역자의 꼼꼼한 태도는 이 소설을 하나의 두툼한 풍속 및 문학사전으로 보이게 만들어놓을 정도로 풍부한 주석과 해설로 채워놓고 있다.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하나의 현상 그 자체인 사드의 저작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지위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리라. 그래서 별이 하나가 부족한 까닭은 사드라면 도저히 동의할 수 없다는 이들을 위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