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묻는 아이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92
김고연주 지음 / 책세상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전, 무라카미 류는 무력한 소설가의 시선으로 당당하게 원조교제를 하고 다니는 고등학생 여자아이의 하루를 따라가본 적이 있었다. 여자아이가 보여주는 당당함에 소설가는 주눅들어 있었다. 그래서 마침내 한 불한당의 손을 빌려 여자아이에게 외친다. '니가 이러고 있는 걸 알면 슬퍼할 누군가가 있다는 걸 알라고.' 도덕극의 마땅한 결론. 글쎄, 그는 그 작품을 쓸 때도 고등학생 여자아이도 느낄 거 다 느끼고 할 거 다 할 줄 아는 '여성'이라는 걸 인식하지 못했던 것일까. 중립적인 시선으로 보여지던 그의 태도가 막판에 가서 기이하게 왜소화된 마초적 행위로 드러난 것은 작가의 한계가 아니었나.

그에 비하면 김고연주가 쓴 이 얇은 책은 여성의 시선으로 바라본 남성적 사회의 '자연스러운' 경제행위인 원조교제에 대한 흥미로운 시선을 제시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이 책은 적어도 현재 시점에선 상당히 정확하며 현실을 예리하게 꿰뚫어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웹상에 구축된 유영철팬클럽과 같은 현상을 남성주의적 현상의 일환으로 연결시켜버리는 오버가 보이긴 하지만 그정도 오판은 실로 미미한 수준이고 전체적으로 이 책에서 보여주는 시선은 더없이 고르다.

여기서 가장 주안이 되는 것은 경제행위다. 저자는 원조교제의 당사자인 여성들이 단순히 나이 때문에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성숙한 인간으로 취급받으면서 보다 성스럽고 보호 받아야 할 가치가 있는 존재가 된다는 것, 그리고 동시에 그것이 자신을 상품화할 수 있는 이 영악한 아이들에게 무기로 작용한다는 걸 지적한다. 하지만 저자의 시선으로 보자면 이 아이들은 이미 성인이 느끼는 것과 별다를 바가 없는 감각과 판단력을 갖춘 존재들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사회에서 받는 부조리가 어떤 것인지 충분히 이해할 정도의 경험과 지식을 갖고 있고 조직적으로 성매매를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정도로 시장을 파악하고 있다. 그래서 이들을 대하는 저자의 접근은 이들과 철저하게 같은 위치에서의 관찰로 맞추어진다. 이들의 이야기들은 결론적으로 이들이 기성의 가치관과는 완전히 다른 가치관에서 맞추어져 있다는 걸 인정해야 이해가 가능한 종류의 것들이다. 그런데 그 가치관이 안드로메다 혹성에서 떨어진 것이냐. 아니다. 그들이 그런 시스템을 구축해야 했던 이유도 결국은 기성의 가치관이 만들어낸 구조에 대한 저항, 혹은 틈입에의 의지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여기서 소위 말하는 사회적 도덕과 일탈은 동전의 양면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래서 어쩌자고? 이 질문은 거의 모든 관련 문서들이 갖는 종국적인 난제이며 여기서도 그 미래와 해답이 분명하게 제시되진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해와 인정이란 측면에서, 그리고 이것이 일종의 노동문제란 점에서 이 책은 미약하게나마 그 해법을 보여주고 있다. 청소녀들이 비정규직 시장에서 받는 대우, 그리고 주가 아닌 논외로서의 얘기로 원조교제뿐만 아니라 매춘으로 먹고 살아야 했던 성인여성들의 측면에서 지방에서의 비정규직이 받는 대우에 관해서 생각해보면, 그 인정이란 것이 정당하게 추정되어야 하는 이유가 나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