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죽음
짐 크레이스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죽음을 다룬 수많은 형이상학적 문제제기들과 대답들과는 완전히 반대지점에서 시작하는 이 소설은 살이 썩고 뼈가 부서지는 죽음, 오로지 현상적 측면에서의 죽음에 대한 해부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작가는 인류가 땅위를 걷기 시작했을 때부터 있었을 죽음에 대한 두리뭉실한 의견개진과는 애초부터 담을 쌓고 죽음이 일으키는 온갖가지 다양한 양상들을 세밀하게 묘사한다. 그래서 소설의 중심을 잡고 있는 노부부 생물학자의 죽음이 세계와 동화되는 과정은 놀라울 정도로 다채로운 광경들로 드러난다. 그들이 부서지는 그 모든 광경은 소설 속의 인물들이 그 죽음을 마주했을 때 자연스럽게 느끼게 되는 것처럼 냄새나고 혐오스러운 것이지만 동시에 하나의 경이-삶과 죽음이 일치하는 접점을 드러내는 흥미롭고 놀라운 풍경이 된다. 그래서 두 사람의 딸은 썩어문드러진 자신의 부모를 직시하면서 최초로 경이감과 존경심을 느끼게 되며 슬픔과 공포가 아닌 삶을 살아갈 용기를 얻게 된다.

소설에서 죽음만큼이나 비중있게 다뤄지는 것은 두 노부부, 특히 아내인 샐리스의 사고의 영역이다. 거의 대부분의 서술에서 화자가 되어 살아있을 때, 그녀의 의식의 흐름과 성격과 그로 인한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는 샐리스는 단 한 번의 열정으로 결혼을 해버린 주인공 부부의 삶의 지리함을 드러내는 인물이다. 생물학적인 열정(물론 직업적인 의미가 아니다)이 사라져버린 노년의 부부가 보여주는 모습들은 일상의 지리함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그 둘은 너무 닮았기에 처음부터 서로에게 맞지 않는 커플이었고 그것은 결혼 후에도 어색하다 싶을 정도로 삐걱거리는 성격상, 스타일 상의 차이로 보여진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처음 섹스를 했을 때의 기억을 재생하려다 난데없는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것은 삶-죽음의 라인이 얼마나 밀접한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은유다. 그리고 죽음으로 인해 비로소 축제가 시작된다. 여기서부터다. 이 소설의 원제가 [Being Dead]라는 것을 기억하자.

기실, 이 소설은 한방에 달려간다. 소설의 처음을 장식하며 끝까지 이끌어가는 두 노부부의 죽음과 그에 얽힌 관계, 인물들의 사고의 흐름과 과거의 이야기들은 수십년을 넘나드는 시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읽기에 전혀 부담이 안될 정도로 스무스하게 이어지는 솜씨가 발휘되고 있다. 이것은 물론 소설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삶과 죽음의 두 영역이 떨어진 영역이 아니라 오히려 밀접하게 붙은, 그러면서 서로를 끊임없이 자각하게 해주는 현상이라는 주제를 드러내기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서 보여지는 죽음은 삶과 이어지는 일상의 한부분이라 의미가 없는 것이 아니라 일상을 꿰매주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삶의 대척점이자 언제나 함께 존재하는 죽음은 일상이 가진 지리함의 연장이 아니다. 그것은 작가의 손에 의해서 묘사되는 죽음이 보여주는 그 많은 다채로운 변화와 삶에의 보완수단으로서의 기능으로 설명된다. 그래서 의미를 잃고 살아왔던 두 부부가 삶의 이유를 되살리기 위해 벌인 이벤트 와중에, 그리고 그것이 가장 절정에 머물 시점에 그와 같은 무게로 찾아온 죽음을 맞이한 후 남게된 두 시체가 일궈내는 그 다양한 경이들이 그토록 풍요로운 필치로 보여지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