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의 집회
장 크리스토프 그랑제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마티유 카소비츠 감독이 만든 '크림슨 리버'를 돈내고 봤던 관객으로써 한마디 하자면 그 영화는 그 좋은 소재에도 불구하고 데이빗 핀처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템포가 축 늘어졌던 스릴러물이었다. 그래서 그 영화의 원작이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였다는 설명은 프랑스 상업 소설이 가진 오락성에 대한 의심으로 이어졌다. 그래서 이 '돌의 집회'를 읽어보기로 결정하는 데에 특별한 기대감 같은 건 없었다.

공산주의가 붕괴된지 어언 십여년이 훌쩍 넘었지만 한 때 존재했던 그 폐쇄적인 세계가 가진 흥미로운 이야기들은 각국 문서고에 박혀있을 1급 기밀 서류의 양만큼이나 많다. 유럽 각 지역마다 유령처럼 남아있는 공산주의 시절의 소문들, 철저한 통제 아래에서 행해졌던 과격한 실험들, 소수민족에 대한 잔인한 폭압과 착취, 폐쇄사회였기에 가능했던 정보통제와 사회적 동의를 무시한 비인격적인 실험의 은밀한 시행 등등. 근래에 이러한 키워드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버무려져서 탄생한 작품이라면 역시 우라사와 나오키의 '몬스터'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돌의 집회' 또한 그 어둠의 영역을 소재로 삼는다.

다양한 정보가 수용된 전직 저널리스트다운 깔끔한 문장이라는 장점이 뿌리까지 오락소설답게 도식화된 구성이라는 단점과 함께 어울리는 이 소설은 중후반에서 결말부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어디서 본 것 같은 이미지들'의 연속 제시와 당사자들에 의한 전반적인 사건의 설명부가 전체적인 면에서 소설구조상 상대적으로 편중된 과밀한 정보량과 도식성을 보여줌으로 인해 작품의 신선함을 떨어뜨리고 있음이다. 특히 인물들끼리 나누는 대화가 현실성이 느껴지지 않는 문어체 대화라는 것도 눈에 띄는 문제였다(이것은 번역상의 난제일려나). 그러나 적어도 작품이 보여주는 속도만큼은 영화판 '크림슨 리버'보다 나았다는 점에서 그 영화를 볼 때 지불했던 값보다는 훨씬 위안이 된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