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 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83
임종기 지음 / 책세상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SF소설이 문학 주류가 되지 못한다는 인식은 SF팬덤에 있는 이들이라면 오래 전부터 느껴오던 바였다. 이 책은 SF문학의 역사를 정립함으로써 단순한 장르문학을 뛰어넘는 SF문학의 가치를 재점검해 봄과 동시에 그런 SF팬덤의 피해의식적 인식을 역으로 드러내보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겠다. 초보 SF팬들을 대상으로 맞춰 쓰여진 이 책은 그래서 대략적인 개론서로서의 방향성을 갖고 있고 그에 충실하게 SF문학의 역사를 나누고 분류하며 간략한 스토리 해설을 함께 곁들이는 정석적인 모양을 띄고 있다.

SF문학의 탁월한 점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인간 상상력의 극한이란 점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시대를 품고 과거와 소통하며 미래를 이야기하는 SF문학은 이야기의 근원을 꿰뚫고 있음과 동시에 탁월한 이야기꾼들의 고향이었다. 그러나 한편으론 장르문학으로써 끊임없이 전문화된 SF문학은 스스로 게토를 만들어냈고 그 안에서만 소통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렇게 SF는 그 전문화된 경향으로 인해 쉽사리 건드리기 힘든 영역으로 자리잡은 측면이 있다. 이미 SF적 상상력이라는 것이 장르 안에서만 순환되는 것이 아니게 된 것처럼 저자가 지적했듯이 발라드를 비롯한 일군의 작가들에 의해서 게토 바깥의 세계와의 교류는 쉬지 않고 이어졌지만 그에 뒤따르는 반대급부적인 결과로 SF문학이라는 '순수성'에 대한 집착 또한 강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미 장르문학으로 자리잡기로 맘먹은 이상 그것이 굳이 주류문학이 되어야 할 필요는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이 순간, 주류문학이란 대체 무엇을 가리키고 있음인가. 밀란 쿤데라와 네이폴의 소설들을 주류문학이라고 해야 하는가. 하지만 네이폴의 소설은 닐 스티븐슨의 신작보다 덜 팔린다. 프라하의 봄을 배경으로 한 정치연애 소설만큼이나 사이버 스페이스의 공간적-철학적 개념을 확립한 '뉴로맨서'는 위대하다. 그렇다면 불만의 근거는 대체 어디서 나오는 것인가. 문학의 쓰레기 분포율은 이미 시어도어 스터전이 SF팬뿐만 아니라 현학적인 말놀음에 지친 일반 독자들도 충분히 수긍할 정도로 간파해내지 않았는가.

카이사르의 몫은 카이사르에게로. 이것은 SF요, 하는 순간 그 자리엔 자연스럽게 결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장르문학으로서의 자부심으로 봐야지 소통 안 된다고 억울해 하는 성질의 것은 아니라고 본다. SF문학의 영향력과 파급력은 피해의식을 느껴야 할 정도로 약하지 않다. 머리 굳은 주류 평론가들도 사이버 스페이스 상의 주관화된 객체를 표현하는 전자 그래픽 덩어리를 지칭할 땐 아바타라는 말을 써야한다. 그러니 너무 광범위하고 강력하게 전파된 덕에 이젠 자연스러운 일상의 한 부분이 된 영역들을 아직도 인정 못하는 이들은 멍청해서 불쌍해 보인다라고 해야 마땅한 표현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