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 베트남과 친구되기
김현아 지음 / 책갈피 / 2002년 2월
평점 :
2000년 6월 27일, 나는 한겨레 신문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날, 월남 참전 군인 전우회 등지에서 온 사람들이 한겨레 신문사 앞에서 벌이는 시위를 현장에서 볼 수 있었다. 그들은 그즈음, 한겨레 신문사에서 낸 월남전 민간인 학살에 대한 기사에 항의하면서 모인 전직 군인들, 그러니까 오십줄, 육십줄 먹은 할아버지들이었다. 그런데 그것은 제대로 된 시위가 아니었다. 그들은 대부분은 반쯤 취해있었고 무절제한 폭력을 휘두르고 있었으며 그 어디에서도 분명한 목적이란 것을 볼 수 없었다. 거기엔 의지도 없었다. 고함을 치고 돌을 던지고 차를 부수고 편집부 안으로 침입을 시도했지만 무기력했다. 그것은 그냥, 화풀이 같았다.
그들은 부정하고 싶었던 것이리라. 아주 간단한 논리로 우리들이 지금 누리고 있는 경제적 수혜가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도 묻고 싶었으리라. 혹은 자신들의 과거가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계속, 부정되고 싶었던 것이리라. 하지만 기억은 그들의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유령은 인간의 심연이 만들어내는 법이다.
전쟁터는 인간의 논리가 적용되지 않는 곳이다. 그곳의 법칙은 오직 삶, 혹은 죽음이다. 그 속에서 살아남아야 한다는 목적을 지닌 인간이라면 언제나 저 두가지 법칙에 따라 자신을 움직인다. 그것이 광기라고 부르는 것이리라. 추잡하고 지저분한 광기. 지옥을 거치고 살아난 인간은 되돌아 갈 수 없는 법이다. 상황논리에 비추어 자신을 어떻게든 정당화한다 하더라도 그의 손이 사람을 도륙하고 찢어죽인 피에 절어 있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가 그의 손으로 저지른 일과 같은 정당한 재판 - 죽음의 순간이 올 때까지 그를 괴롭히게 될 것이다.
베트남 전쟁은 우리가 타자가 되어 다른 국가의 역사에 폭력적으로 개입한 흔치 않은 사건이다. 그리고 참여의 동기나 그로 얻게 된 이득이나 이후의 역사나 어느 것 하나 정당한 것이 없다. 양민 학살, 고엽제 피해, 군사 독재의 가속화, 수많은 참전 군인들의 후유증들을 남기며 끝난 베트남 전쟁은 범국민적인 침묵 속에서 서서히 잊혀져왔다. 하지만 상흔은 감출 수 없다. 우리는 잊어왔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잊지 못하고 있었다. 가해자인 당사자들은 잊으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하지만 밤마다 악몽은 되찾아온다. 피해자인 당사자들은 당연히 잊지 못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사랑하는 이가 동방의 등불이란 나라에서 온 사람들에게 무참하게 살해 당하는 걸 두 눈으로 봐야했다.
저자는 베트남으로 직접 날아가서 우리가 남긴 죄의 흔적들을 정면으로 목도한다. 그들은 기억하고 있다. 아주 분명하게, 자신들의 다리를 자르고 배를 뚫은 이들의 모습들을 말한다. 여기서 우리는 군사 정권과 문화가 만들어낸 월남 참전 군인의 환상의 실체를 보게된다.
그들은 자신들을 그렇게 한 사람들을 하나하나 불러서 죄값을 치루라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대단한 보상을 바라지도 않는다. 결국 그들은 그 지옥을 뚫고 살아남아 전쟁에서 이긴 승리자들이다. 세계에서 가장 강한 제국과 맞서 싸워 이겨낸 사람들이다. 그들은 단 한가지만 바랄 뿐이다. 사죄. 미안하다고 하는 그 한마디.
기억은 고통을 수반한다. 하지만 그 고통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것은 다른 누구를 위한 것이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을 위해서다. 돈과 이데올로기의 광기는 우리에게 너무도 많은 생채기를 남겼다. 우리는 '제국'이 우리에게 저지른 죄를 알고 있고 우리 서로가 서로에게 저지른 죄를 알고 있다. 이젠 우리의 죄에 대해서도 말해야 할 차례이다. 고통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기억이 필요하다. 우리가 차마 보지 않으려했던, 기만을 벗은 기억이. 그리고 그것을 통해 진심 어린 사죄를 말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