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사냥 - 하
텐도 아라타 지음, 양억관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옴 진리교 사건은 일본 사회가 가지고 있던 모든 가치를 부숴버렸다. 그것은 거품 경제 붕괴 이후 끝을 모르고 지속되던 경제 불황 속에서 마지막 확신으로 가지고 있던 위태위태한 도덕적 가치마저도 깨버린 것이었다. 그들은 어떤 측면에서도 정당할 수 없는 인간들이었다. 오직 인간의 광기의 충족이란 측면에서 허용될 수 있는 그것은 어둠의 산물이었다. 일본이라는 거대한 욕구 불만의 사회 지하에 묻혀있던 음침한 광기의 도발. 옴 진리교 사건은 일본 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믿음을 지워버렸다. 전방위적인 피해의식의 확산, 학벌과 계급을 잣대로 기능적 측면에서 인간을 구분하는 의식에 대한 철폐. 그리고 그 사건을 전후로 연이은 근친간 살인 사건의 횡행은 사실상 나를 둘러싼 모든 이들을 의식적인 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외부에서의 피해 의식과 내부에서의 피해 의식은 하나로 겹쳐졌다.
가족 사냥은 그런 시기에 나온 작품이다. 전반적인 사회 불안의 와중에서 가족에 대한 희망마저 저버리게 된 일본인들에게 이 책은 르포와 비슷한 수준의 공포를 선사했으리라. 작가의 힘있는 필체는 잔혹한 살인 장면에 대한 상세한 묘사에서부터 시작하여 느릿하게 각자의 문제를 가진 이들의 의식 속으로 들어간다.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들이 얽혀서 만들어내는 사건들의 흐름은 이 작가가 서스펜스를 만들어내는데에 일가견이 있음을 충분히 증명할 정도로 매끄럽고 설득력이 있다. 인물 하나하나는 현대 일본 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어른들의 아이콘이며 현상을 다루는 그들의 행동엔 각자의 삶의 궤적을 따르는 정당성이 있다. 이것은 작품의 현재적 가치를 보장해주고 악몽이 만들어지게 된 근원을 밟아가는 일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이 작품에서 진정한 문제라고 볼 수 있는 아이들에 와서는 작가의 필치가 한없이 약해진다. 사건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현상 그 자체인 아이들에서 말이다. 이것은 어찌보면 자신감 결여를 드러낸 일이라고 할 수도 있으리라. 단면적인 측면에서만 다루어지는 아이들에 대한 묘사는 앞서 말한 것처럼 아이들을 어른과 동등한 입장에서의 분석 대상이라기보다는 현상 그 자체로만 보여지게 만들고 있다. 물론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진정한 '괴물'은 범인이지만 그 '괴물'을 탄생시키게 만든 촉매인 아이가 너무도 뻔하고 가정 연구소에서의 공식 그대로 따라서 그려지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그것이 분석적인 측면에서의 패배를 뜻하는지 아니면 작가적 틀에 의한 거세의 결과로 표출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굳이 후자쪽으로 맞춰본다면 끝에서 보여주는 더없는 가족친화적 결말은 앞서서도 미리 감지되었던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열쇠인 '탕아'의 회개가 시계 부품처럼 끼워져 있는 이 결말은 결국은 그렇게밖에 말할 수 없는 작가의 결단인 듯 하다. 어쩌면 이것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끊이지 않고 확장되어가는 가장 가까운 이들간의 죽음의 이야기 속에서 방법론적으론 두 가지, 자살과 턱없는 희망이라는 해결이 있었음을 우리는 비슷한 시기에 존재했던 '아이들의' 문화 아이콘들(신세기 에반게리온, 배틀 로얄)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