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동문선 현대신서 102
미셸 슈나이더 지음, 이창실 옮김 / 동문선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맹렬하게 돌아가는 시디 플레이어 안에서 세심하게 세공된 피아노 음이 가만히, 세상으로 울려 퍼져 나간다. 울거나, 웃거나, 그 순간만큼은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아진다. 그것이 글렌 굴드의 피아노다.

그를 이해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완전히 은폐된 사생활, 모순에 찬 행동들, 돌발성, 사견의 배제. 그는 인간으로서의 자신을 이해할 어떤 단서도 남겨두지 않고 오직 음악만을 '만들어 놓고' 세상을 떠났다. 모호함의 경계에서 멤돌았던 그가 남긴 가장 분명한 단서는 기록으로 남은 그의 (독해하기 힘든) 태도와 앨범뿐이다.

그래서 저자는 왜, 라는 질문을 안고 그의 연주, 기록 필름, 앨범, 행동들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그가 어째서 그렇게 피아노를 연주했는지에 대한 문제로 직진해 들어간다. 그의 어린 시절, 일생의 에피소드나 여자(혹은 남자?) 문제, 정치적 견해 등등은 되려 사소하고 불필요한 것들이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오직 음악으로 받아들여지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위해 살았고, 아니, 오직 그것만을 남겨놨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굴드가 죽을 때까지 털어놓지 않았던, 또한 그 자신만이 추구할 수 있었던(말마따나 그의 연주는 그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었다.) 비원으로의 탐색이다.

그런데 그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은 자신을, 글렌 굴드라는 인간을 지우려고 끊임없이 노력했던 글렌 굴드였다. 그렇지만 그 결과로 그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게 되었다. 그 모순처럼 저자가 골드베르크 변주곡에 맞춰 구성한 단락들 속에서 드러나는 굴드들은 그 하나하나가 굴드이면서 굴드가 아니려고 한 굴드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 모습들은 서로 엉키고 더해지고 다음 단락들에 영향을 주면서 좀처럼 잡기 힘든 글렌 굴드라는 모양을 조금씩 드러낸다.

악마이자 천사, 음악의 순수주의자, 수도승. 그러니까 그는 음악을 만든 것이 아니라 음악이 음악 그 자체만으로 들려오길 갈망했다. 음악이 있을 그 자리에는 오직 음악만이, 살아서 존재하고 있기를 바랬다. 그렇기 때문에 받아들이기엔 너무 파격적이었지만 파격적이라고 하기엔 너무 순수하고 무성적이었던 그는 이 시대의 타락의 지표이면서 진리의 한 표상이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지만 그만큼이나 믿지 않고 있는 것, 바로 '진실'이라고 불리는 것이었다. '그의 연주 앞에서 우리는 모두 어린 아이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