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
베르너 풀트 지음, 김지선 옮김 / 시공사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비르투오소의 연주는 매혹적이고 압도적이었으며 사람들은 그의 연주를 인간의 것으로 여기질 않았다. 그가 가진 재능과 지긋하다 싶은 연습의 결합은 세상을 뒤집어놓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그는 완전히 오해됐다.
사람들은 그를 악마와 함께 걷는 이로 알고 있었다. 그의 개인사적 편력이 그런 오해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줬음은 분명하지만 거의 대부분은 오해였다. 아니, 그것은 대중의 열망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너무 탁월하고 뛰어난, 경외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이에게 지워지는 열광과 오독. 그것이 센세이션이었다는 점에서 그는 최초의 대중적인 슈퍼 스타였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자신에게는 그 열기를 이해할 여력이 없었던 모양이다.
책은 동시대인들의 기록들을 토대로 파가니니에 얽힌 소문과 진상을 가려내려 한다. 그는 낭만주의가 만들어낸 영웅이자 악마였고 궁극적으론 희생자였다. 그저 한 사람의 탁월한 연주자였으면 그것으로 됐을 것을. 그의 능력에 관한 대중의 호기심, 질시, 경외감은 그를 가만 놔두질 않았다. 그곳에서 우리는 매체를 통해 만들어지는 왜곡과 그에 끝없이 덧붙여지는 (마치 유령 같은) 소문의 악순환을 보게 된다. 그것이 제도의 이기심과 결탁되었을 때, 그는 죽은 채로 36년을 떠돌아야 했다.
이것은 인터넷을 통해 매체의 가능성이 한도 끝도 없이 넓어진 오늘날에도 그대로 해당되는 얘기가 아닌가. 네트의 구석 게시판에서 쓰여진 자극적인 텍스트가 세상을 한 바퀴 돌아 한 사람, 한 영혼, 한 공동체, 집단을 오독하게 만드는 일은 얼마나 비일비재한가. 파가니니의 삶을 있는 그대로 조명하고자 한 저자의 시선은 차분하지만 그 안에서 우리는 대중이 가하는 폭력의 잔인함을 볼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확장되고 있는 인간의 못 된 버릇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