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이 달려오던 전개가 이번 5권에선 다소 주춤한 느낌. 가슴을 적시는 자기희생담(....)의 심심한 결말과 어느 양순한 소녀의 짤막한 에피소드. 그리고 역시나 하나 끼워넣는 지어스 세계의 비밀 한토막. 이어지는 모던한 외톨이의 일상과 파국의 전개부분이 잠시동안의 평온을 제치고 암울함을 기약하고 있다.

 

할말을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정말 환장할 정도로 늘어지는 전개의 이유는 뭘까? 역시나 원작의 장황한 중언부언은 그렇다 치더라도 큰 전개도 없는 격투씬을 2회씩에나 걸쳐 그리는 연출의 지지부진함 때문이 아닐런지.

 

 

업계에 속해있었던 모님께서 보면서 꽤나 비웃었다던 만화-_- 전개의 인과성이나 감정을 다루는 호흡이 영 서투르고 급작스러우며 은근하게 먼치킨삘을 담보하고 있음. 에로계 출신 작가들의 메이저 입성은 분명 환영할만 하나 그 완성도가 영 성에 차지 않을 때 항상 드는 생각이 있다. '에로만화나 계속 그려주셨으면....'

 

우리나라나 일본이나 웹툰의 감수성이란 것은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는 물건. 물론 이 책은 출판이나 상업목적이 아닌 순수하게 개인 작업의 일환에서 시작되어 이렇게 책으로까지 나온 결과물이기에 사소설적 성향이라도 불러도 좋을 그런 감수성의 수치가 현저하게 높을 수밖에 없음을 미리 견지해두고 있어야 할 듯. 제목의 처절함에 비해서 그리 지독하진 않다.

 

가장 처음에 실린 박해천의 '우리 파시스트, 테크놀로지의 강철폭풍'은 파시즘에의 매혹의 한 철을 어느 수다쟁이 파시스트의 입장에서 매력적으로 떠들어보인다. 파시즘의 민중적 속성과 대안적 가능성을 열변하는 그 현학적 흐름은 열정적인 통찰을 견지함과 동시에 자신들이 가졌던 한계점에 대한 냉정한 결론을 도출해낸다. 끝에 가면서 지나치게 점잖아지는 그 가상의 파시스트가 좀 더 앞뒤 가릴 줄 몰랐다면 어땠을까, 하는 것은 꽤 즐거운 상상이다.

'오이디푸스 느와르-'에서의 [올드보이] 분석은 진부하고 과잉적이었다. 그것이 [친절한 금자씨]의 개봉 직전이었다 하더라도.

 

리얼 조폭스토리를 빙자하고 있지만 자신의 주변에 널린 페이소스들을 '해석하지 못하고' 결국 파국으로 달려가는 병두의 역할에 비추어 지옥에 남게된 민호를 키로 삼아 풀어낸, 결과적으로는 창작자가 겪어야 할 악몽에 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노골적으로 곽감독 이야기를 모티브로 삼은 거 같아서 유하 감독(이젠, 그리고 예전에도 그랬지만 암튼지간에 감독 딱지가 더 어울린다)이 배째라는 심정으로 만든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잠깐 들었음.

마놀라 다지스가 [킹덤 오브 헤븐]의 평에서 했던 말을 그대로 옮겨올 수가 있겠는데 '감정의 극한과 내러티브를 전달하기에 충분할정도로 파워풀한 배우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 영화의 배우들은 그 정도를 감당하지 못했다.' 이보영의 비중이 무지 작아서 열라 슬펐음.

 

요즘 듣는 음악은 생활의 사운드트랙 같다. 있는 듯 없는 듯 울려퍼지는 탄력적인 에코. 느릿하게 무언가 벌어질 듯한 천공속 느와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