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오 바디스, 역사는 어디로 가는가 1 - 재난과 전투, 그리고 암살
한스 크리스티안 후프 엮음, 정초일 옮김 / 푸른숲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사실 이 책을 어제 받아서 아직 다 읽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읽은 부분인 '페스트'와 '기사의 몰락-크래시 전투'만으로도 충분히, 너무 재미있었기에 감상을 씁니다.

흔히 이런 류의 역사책을 생각하면 딱딱하고 재미없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 책의 서술은 무척 쉽고도 흥미롭게 되어 있습니다. (뭐... 딱딱하다는 면에서는 아무래도 인문학서인 만큼 어쩔 수 없겠습니다만 그래도 번역이 굉장히 섬세해서 이런 류의 책으로서는 굉장히 부드럽군요)

특히나 저는 '기사의 몰락-크래시 전투' 때문에 이 책을 샀는데요, 판타지에 관심이 많고 중장기병에 환상을 갖고 있었던 저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몰랐던 것을 많이 알았고, 그리고 환상도 좀 깨졌습니다(웃음). 다스베이더보다 더한 철갑으로 온몸을 칭칭 두른 기사들의 적은 티푸스와 이질이었다니! 하지만 생각해보면 사우나도 그런 사우나가 없었을진데... 당시의 기사들은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었던 것 같습니다.

진실(?)을 알고난 뒤에도 중장기병의 환상을 거두진 않았습니다. 누가 뭐 판타지 읽으면서 중장 기병의 철갑 안의 땀띠를 상상하면서 읽나요. 하지만 그런 현실적인 비화도 이런 책을 통해 읽는 것도 매우 흥미롭고, 판타지를 읽으면서 재미를 더할 수 있다고 봅니다.

비싼 책이지만 장정과 올컬러 사진들, 고급 지질, 그리고 흥미로운 내용과 멋진 지식들. 돈값을 톡톡히 하는 책이었습니다. 이 시리즈가 더 나오면 마저 살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은 어떻게 부자가 되었을까
릭 에들먼 지음, 장석훈 옮김 / 청림출판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일단,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미국처럼 주가지수가 큰 곡선을 그리며 꾸준히 올라본 적이 없으므로(대체 주가 1천을 돌파할 날이 진짜로 있긴 할 것인가!) 주식 얘기는 적용할 수 없겠지만 (게다가 우리나라에 수년을 계속 가는 뮤추얼 펀드는 많던가? 대개 1년 정도 아닌가?) 그래도 적용하고 귀담아들을 부분은 많았습니다. 가령 중간에 나온, 정리의 귀재 샐리 아줌마.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가계부 정리하고 청구서 정리하는데 시간과 정력을 다 쏟더군요. 차라리 그 시간에 아르바이트를 해도 더 했겠건만. 결국 그들은 아름답게 정리된 가계부를 가졌지만 실제로 필요한 돈을 갖진 못했죠. 그리고 그건 그들만의 우화가 아니라 우리들 자신에게도 경우만 조금씩 달리해서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이 책은 보여줍니다.

'시간이 돈이다'라는 명제가, 복리라는 측면에서는 정말 더도덜도 아닌 그야말로 글자 그대로의 진실이라는 것도, 귀담아들을 만한 이야기였습니다. 생각해보면 아인쉬타인도 20세기 최대의 발명은 복리라고 했다던가요. 21세에 시작한 사람은 20세에 시작한 사람을 영영 따라잡을 수 없다는 이야기, 하지만 요새는 누구나 다 고령까지 사니까 지나간 시간 한탄 말고 빨리 시작하라! 고등학생에게 이 얘길 하면 '12살 때부터 시작할걸' 이런 소릴 한다더라! 하는 우스개 소리까지 해가면서 우리에게 귀에 쏙들어오게 충고해 주기도 합니다.

매달 100불씩 주식 저축(?)을 할 때의 잇점 같은 것도, 전에 얘긴 들었었지만 여긴 보다 확실하게 예를 들어 보여주니 머리에 쏙 들어오더군요. 그 외 장기투자 얘기라든가(하지만 이부분 중 일부는 우리나라에 잘 안 맞았는데, 우리나라는 주식 장기투자 한 사람들이 다 망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모로 읽어볼만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보다 더 큰 아홉 - 정갑영의 풀어쓰는 경제학
정갑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제목부터 무척 특이하고 재미있었지만 내용도 재미있었습니다. 경제학 책이라지만 결코 딱딱하지 않고 부드럽고, 무엇보다도 이해하기 쉽고 친근하게 와닿고. 일반인들을 위한 경제서로 최근에 나온 것 중 가장 훌륭하게 제 소임을 다하지 않나 싶습니다. 조금 아쉽다면 옛날에 나온 신고산의 <저축하지 맙시다> 같은, 톡 쏘는 사회비판적 맛이 좀 떨어진다는 것이지만, 이 책이 애당초 한국 경제를 조망하는 책이라기 보다는 우리에게 경제 이론을 알기 쉽게 전달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책이었으므로 그런 건 과한 욕심이겠지요.경제의 원리를 앎으로서 사회의 이해를 폭넓게 하고 싶은 분은 읽어보세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를 팝니다
한스 위르겐 게에제 지음, 우상수 옮김, 강인춘 그림 / 해누리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충격적이긴 했지만 그만큼 기발한 이야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뭐, 기발하다고는 할 수 있겠지만 저는 읽는 내내 유쾌하지 못하더군요. 아니 솔직히 말해서 불쾌하다에 가까운 감정이었습니다. 아무리 우화이고, 교훈을 위한 이야기라고는 하지만 저로서는 그 아버지-세일즈의 대상이 되어야 했던 무능한-가 겪었어야 할 참담한 마음의 고통이 먼저 머리에 떠올라서,도저히 이 이야기에 공감할 수 없었습니다.

하긴, 어쩌면 이 이야기는 다른 의미로는 제게 깨달음을 주었습니다. 저는 솔직히 이 아버지의 고난이 한권 내내 갈 줄은 몰랐었어요. 헌데 오래 가더군요. 누군가의 고난과 고통을 보는 것이 유쾌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하나는 느꼈습니다. 세상은 결코 쉽지 않다는 것. 어쩌면 고난이 쉽게 끝났다면 불쾌함은 줄었을지언정 현실을 가르치고 교훈을 준다는 애초의 목적에서는 벗어났을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과연 이거, 애들에게 권할만한 책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침의 차 한잔이 인생을 결정한다 - 24시간 활용법
아놀드 베네트 지음, 윤선원 편역 / 매일경제신문사 / 199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침의 차한잔이 인생을 좌우한다... 차한잔 마신다고 인생이 달라지는 건 아니겠지요. 그렇다기 보다는 아침에 차한잔을 마실 수 있을 만큼의 여유를 두고 일찍 일어나는 생활을 하라는 뜻이지요. 시간의 소중함은 숱하게 듣지만 사실 피부에 와닿기는 힘든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오랜만에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며 다시금 부지런을 떨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아침을 일찍 시작하는 사람의 여유, 보다 넉넉한 시간... 그리고 그 시간들이 모여 이루어내는 인생의 기적...차 한 잔을 마시며 고요히 사색하는 것, 그 짧은 시간이 얼마나 대단하냐 싶을지 모르지만 읽다보면 수긍하게 됩니다. 사람들은 사실, 그만큼도 사색하지 않고 살지요...매너리즘에 빠져서 갈피를 못 잡을 때 한번씩 읽으면 새마음이 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