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괭이부리말 아이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양장본
김중미 지음, 송진헌 그림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괭이부리말 아이들>에 관한 소개는 책을 소개하는 여러가지 매체와 평론집을 통해 본 바 있으나, 왠지 그 유명세때문에 책을 다음 기회로 자꾸 미루게 되었다. 그러다 <종이밥>을 읽고 너무 가슴이 아려서 한동안 내 자신이 작게 느껴지기도 하였다.
실제로 인천의 괭이부리말이 배경이 되었고, 판자촌이라는 단어가 생각나게하는 가난해서 고단한 어른들의 삶이 아이들의 영혼을 불안하게 만들고 상처를 받는 모습들이 그려지고 있다. 읽는 도중, 읽고 나서 작가에게 "왜 이렇게 울리시나?"라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가, 어쩌면 책 속의 삶이 아닌 오늘을 살아내고 있는 아이들이 이렇다면 아! 우리 어른은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유도 아저씨 영호가 정말 빛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 속에서도 그렇지만 사는게 팍팍해지면서 자신의 피붙이마저 버리는 부모들이 또는 가족이 모두 죽음을 택하는 경우들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나도 아이를 낳고 키우다보니 아이란 부모에게 더할 수 없는 소중한 존재이다. 목숨과도 바꿀 수 있는 존재다. 그런 존재들을 버려야 하는 어른들의 마음은 이미 절망이다.
괭이부리말에 사는 숙희와 숙자 쌍둥이, 그리고 친구 동준이, 동준이 형 동수를 중심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숙희 숙자 쌍둥이 자매는 성격이 많이 다르다. 속 깊은 언니 숙자는 집을 나간 엄마가 돌아왔을 때도 마음과는 달리 선뜻 엄마에게 반가운 내색도 못한다. 혹시 다시 집을 나갈까 봐서... 술만 취하면 폭행을 하는 아빠는 엄마가 돌아오고 나서 달라진다. 하지만 공사장에서의 사고로 죽음을 맞은 아빠로 인해 슬픔이 찾아들고, 임신한 엄마는 비디오 가게를 낸다. 하지만 가게 주위에 커다란 비디오 방이 여러개 생기면서 어려움을 겪는다. 동준이는 어려서 엄마가 집을 나가고 아빠마저 나가고 두 형제가 근근히 살아간다. 그나마 형 동수는 본드에 중독이 되어 있다. 나중에 그 속내를 알고 나면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들의 상처에 마음이 울컥해진다. 영호는 어머님이 암으로 돌아가시고 나자 성인이지만 외로움을 느낀다. 그러다가 동수 동준 형제를 만나게 되고 이들과 가족이 되면서 참다운 부모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들 가족은 서로에게 정을 나누면서 서로의 상처를 치유해 나간다.
어쩌면 신음 소리가 나올만큼 절망적인 상황에서 감히 희망을 꿈꾼다는 것을 엄두도 못낼 것 같지만 이들은 결국 희망의 자락을 움켜쥐었다. 본드를 끊고 고등학교에 복학하고, 일을 하고, 장래희망을 품게 된 동수를 통해 비온 뒤 흙이 더 단단해 지듯 단단하게 자랐을 거란 생각이 든다. 우리는 삶을 위협하는 위기는 늘 있지만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동수를 통해 깨닫게 된다. 그리고 영호아저씨를 통해 진정한 선생님이란 어떤 모습일지 고민하게 된 김명희 선생님을 통해 아마도 독자들 역시 그 의식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을까 하는 어림짐작을 해본다.
청소년 소설은 나름대로 희망을 품게 만들어야 한다. 어린 나이부터 경쟁에 내몰리게 된 아이들, 누군가를 제치고 내가 앞서야 한다는 강박... 그 아이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나눈다면 그래도 살만하지 않겠니? 하는 잊혀져 가고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