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족입니다 - 2005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대상 수상작 보림창작그림책공모전 수상작 11
이혜란 글 그림 / 보림 / 2005년 10월
장바구니담기


가족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하는 그림책을 만났다.
표지에 보림창작그림책공무전 수상작이라는 작은 글씨가 박혀있는....
주인공 아이가 보는 이에게 마치 이야기를 건네는 것도 같고,
그림만 보고서도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의 주 독자층일 어린 아이들은 이 책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들까
무척 궁금해지기도 한다.


엄마, 아빠, 나, 동생.
보기에도 단란해 보이는 우리 가족이다.
그런데
네 명 말고도 할머니가 한 분 멀리 시골에서 혼자 사신다.
할머니와 아빠는 아주 어릴 때부터 따로 사셨다고 한다.
할머니는 지금도 우리랑 같이 살기 싫으시단다.
나도 그게 더 좋다. 왜냐하면....

우리는 아빠 엄마가 하는 작은 식당에서 산다.

"아빠, 할머니 오셨어요."

택시 아저씨가 돈 많이 달래요.
할머니가 시골에서부터 타고 왔대요.

맨 앞에 나왔던 사진 속 모습과는 표정이 다르다.

엄마가 사주신 노란 원피스를 입고 웃고 있는 나,
주워온 옷으로 치마를 만들어 입은 할머니..
그런데 이...상...하...다
뒷모습만 보이는 할머니는 보통 떠오르는 할머니하곤 달라 보인다.

우동도 딱딱해서 못 먹겠고
먹다가 뱉기도 하고...
그런 할머니와 같이 먹기 싫다.

엄마가 내게 생선살을 발라 밥숟가락에 올려주시듯
아빠도 할머니 숟가락에 반찬을 올려주신다.

오줌도 제대로 못 누는 할머니와 같이 자기도 싫다.
그런 할머니를 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받아주는 것 같다.

으으으~~~
옷장에 젓갈을 넣어 놔서 구더기까지 생겼다.
할머니, 왜 그래 자꾸?

똥마저 옷에 그냥 싸진 할머니...
똥묻은 옷을 빨고 있는 아버지...

손님이 있는데서 옷까지 훌러덩 벗으신 할머니
창피하다.

아빠! 할머니가 학교 담 밑에서 그냥 누워 자요.

할머니의 몸이 무척이나 커보인다.
아버지가 짊어져야 할 짐처럼...

사고뭉치 할머니 다시 갔으면 좋겠다.
그런데 아빠는 안 된다고 한다.
어릴 때도 따로 살았다는데....

그래도 안돼. .........엄마니까.
할머니는 아빠 엄마거든.

따뜻한 모습이다.
아름답다.

어려서 할머니와 따로 살았는데도
아빠는 치매에 걸리신 할머니를 그대로 받아 주신다.
남이라면.... 저럴 수 있을까.
어떻든 엄마니까... 라는 말에 그냥 가슴이 아린다.


가족....

우리는 너 나 할 것 없이 고통 속에서 태어난다. 그리고 가족이 된다.
가족이란 단어에 눈물이 나는 까닭은 바로 그 때문일 게다.

여유롭진 않지만 부모의 모습을 보는 아이는
단단하게 자랄 것만 같다.
가족 중에 누군가 치매에 걸리게 되면
모두가 힘들어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치매에 걸렸다고, 또는 병에 걸렸다고
버릴 수는 없는거다.
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
병에 걸리면 국가가 알아서 해준다면 참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는
가족은 서로가 서로를 책임져야할 의무관계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의무라고 하지 않고 '사랑'이라고 부른다.

아이에게 어떻게 자라라, 커서 뭐가 되라라는 말은
사실 필요가 없다.
자식은 부모를 닮는다.
생김새뿐만 아니라 성품까지도, 행동까지도.
그러니 부모가 잘하면 된다.
그래서 나는 '뿌리는 대로 거둔다'는 말이 제일 무섭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즈야 2010-10-19 11:23   좋아요 0 | URL
치매 걸린 할머니와 함께 사는 가족들의 이야기네요.
저희 할머니는 치매는 아니셨지만 암으로 고생하시다 떠나셨어요.
왠지 그런 생각이 나네요. 그래서 꼭 읽어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