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황지우의 시였는지, 장정일의 시였는지, 이런 장면이 나옵니다. 어떤 여교사에게 같은 학교 남자교사가 어느날 갑자기사랑을 고백하자, 여자는 남자의 뺨을 때립니다.  그리고 (제 기억이 정확하다면) 이렇게 되뇌이죠. "이 남자가 사랑한다는 사람은 도대체 누굴까? "

여교사는 어쩌면 한눈에 반하는 사랑을 믿지 않았던 탓도 있었고, 자신이 사랑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확신이 없는 마르크스주의자였을 수도 있겠지만("당신이 지금 나를 사랑한다면 그건 당신이 나의 전체를 보지 못해서"라고 생각했고 그런 상태로 사랑에 빠진다는건 "바보짓"이라고 생각했겠죠) 무엇보다 그 남자가 사랑한다는 대상이 정말 자신인지가 의심스러웠을 겁니다.

그녀를 잘 알지 못하는 남자의 고백은 그 남자가 그녀에게서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을 골라서 혹은 만들어서 보았다는 반증이며,클로이식으로 말한다면 그남자가 사랑하는 건 그의 수퍼에고지 여교사가 아니었을테니까요. 저 역시 첫눈에 반하는 사랑은 믿지 않습니다.  낭만적 운명론이 개입한다면 이런 "맥빠지는 냉소주의"에서 벗어나 영화처럼 운명적 사랑에 빠질 수도 있을거란 개연성은 인정하지만, 자신의 수퍼에고를 사랑하는 남자를 사랑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니겠습니까? (맞습니다. 전무하다시피한 제 미천한 연애 이력의 기원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사랑의 최초의 움직임은 필연적으로 무지에 근거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그남자들이 말하던 사랑이 정말 "사랑인지 단순한 망상인지 말해줄 수 있는 것은 오직 시간이라는 것"을, 진작 간파했더라면 저 여교사도 저도 에로스의 축복을 좀더 받을 수 있었을텐데요..이런 의미에서 알랭 드 보통을 이제서야 만나다니 정말 불운이로군요.

결국, 사랑이란 대상에 내재된 것이라기 보다는 사랑하는 주체의 인식속에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랑할
수 밖에 없는 존재여서 사랑한다면 사랑이란 무조건 반사에 다름 아닐테니 말입니다.

드라마 '아일랜드'의 중아는 "내가 왜 좋아?"라고 묻는 대신 강국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내가 불쌍해서 좋은가요? 좋아서 불쌍한가요" 그가 대답합니다. "처음엔 불쌍해서 좋았고, 지금은 좋아서 불쌍합니다" 

주인공 역시 그녀가 매력적이라 생각해 사랑에 빠졌지만, 나중엔 사랑에 빠졌기 때문에 클로이의 벌어진 이빨조차 아름답다고 느꼈고, 그 아름다움을 찾아낸 자신을 스스로 대견해합니다.

대상을 자신과 동일시하든 이상화하든, 사랑이란 철저하게 이기적인 행동입니다. 화자가 클로이를 가장 사
랑한다고 느끼는 순간은 바로, 그녀에게서 자신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거나, 자신도 알지 못하는 미묘한 감정을 그녀가 정의해주었을때 ("너 또 길잃은 고아같은 표정을 하고 있네")처럼, 그녀에게서 자신을 확인하는 순간입니다.자신의 불완전함을 채워줄 나와 다른 상대에게 끌리기 마련이지만 차이는 동시에 장애물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작가는 사랑을 거울에 비유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보고 싶은 모습을 비춰주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혹은 그 사람을 통해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 사랑이라는게 상대라는 거울을 통해 자기 모습을 확인하는 거라면, 내 자신의 불완전성은 불멸의 사랑을 기약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가 되는거겠죠.

양희은은 사랑을 쓸쓸함이라고 불렀습니다. 가장 빛나고 아름답고 행복해야할 순간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사랑은 쓸쓸합니다. 아무리 눈부신 사랑이라도 두 사람은 결코 태초의 자웅동체로 돌아갈 수 없으며, 유효기간을 만년으로 할 수 없음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으니 말입니다.주인공은 클로이의 통굽구두에서 두사람은 독립된 개체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클로이는 스페인 여행 길에서 행복의 정점에서는 내려가는 길 밖에 없다는 예고된 이별을 감지하고 현기증을 느꼈던 거겠죠.

사랑의 가장 쓸쓸한 지점은 배신이나 실연같은 사랑의 부재가 아니라, 사랑은 언젠가 망각되어지거나 새로운 사랑으로 치유된다는 사실입니다.주인공역시 클로이의 부재보다도 언젠가부터 그 부재에 태연해진 자신의 모습에 스스로 소스라칩니다. 소설 전체에서 클로이란 이름을 레이첼로 바꾸어도 결국 똑같은 기승전결을 가진 스토리를 만나게 될테죠.

p.s. 책을 다 읽은 시점에서도 사랑에 대한 제 "맥빠진 냉소주의"는 치유되지 못했군요. 결국 알랭 드 보통을 읽든, 읽지 않았든 제가 에로스의 특별한 축복을 받을 일은 없었던 겁니다.

p.s. 제가 아는 사람에게 모두 일독을 강권하고 있는 중입니다.이 책을 읽은 누군가와 잘근잘근 되씹고픈 문장이 한두개가 아니네요. 잘보이는 곳에 꽂아두고 "요긴"하게 써야되겠습니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ox in the snow 2005-05-23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분에 넘치는 칭찬이세요.

협객 2005-05-27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 잘봤습니다. 예술이네요. ^-^;
어떻게 같은 책을 읽어도.. 이렇게 차이가 나는지.. ㅡㅡ^

Fox in the snow 2005-05-27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오늘 날씨 참 좋네요^^

울보 2005-05-28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이주의 마이리뷰당선되신것을...
글 잘 읽고갑니다,
저도 꼭 읽어보고 싶은책입니다,,

로드무비 2005-06-01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들어진 리뷰입니다.
인사드려요.^^

2005-06-01 1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poptrash 2005-06-01 1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립니다. 저도 참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는데, 리뷰도 멋지네요. 반갑습니다. ^^

Fox in the snow 2005-06-03 0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보님, poptrash님 감사합니다. 음냐..상품권으로 무엇을 살지..행복한 고민중이랍니다.
로드무비님...반영해서 수정했습니다. 늘 쓸때마다 헷갈렸는데, 이제는 덕분에 확실히 알았네요.

히나 2005-06-03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늦었지만 축하드릴게요. '대체 그가 사랑한다는 그 여자가 누군지 궁금했어요' 찾아보니 장정일의 시 '프로이드식 치료를 받는 여교사, 4'네요. 그리고 닉네임은 벨 앤 세바스찬의 fox in the snow 인가요? 문득 궁금함..

Fox in the snow 2005-06-03 1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nowdrop님/장정일이었군요.^^. 닉은 벨앤세바스찬의 노래에서 따온 게 맞습니다.그렇게 물어봐주셔서 고마와요. 아무도 제 닉에서 벨엔세바스찬을 알아봐준 사람이 없었거든요.ㅎㅎ

Fox in the snow 2005-06-03 1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nowdrop님/그런데 서재 제목이 저랑 같네요? 괜히 반갑네요

히나 2005-06-04 0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그러네요 반가워요 (악수~!)

비로그인 2005-07-13 2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죄송해서 어쩌죠, 눈님! 햐..너무 늦어부렀구만요. 알라딘을 뜸하게 하다 보니..캬..감축, 감축 드리옵니다. 사실 이 리뷰 읽을 때부터 뭔가 조짐이 보였다구요!! 이 달의 우수 리뷰로 당선될 거 같다고, 그때 말씀 드렸어야 하는데..음..이러다 저 작투 타고 입으로 물 뿌리는 왕꽃선녀님 되는 거 아닙니꽈? 예?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