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서, 영어공부를 한다는 것이 힘들어요.", " 늦게 시작하니, 그만큼 힘이 드네요." 라는 말들은 어쩌면 변명. 

나이가 들어서, 힘든 것이 아니라, 우리내 끈기가 나이를 들어가면서, 점점 옅어지고 있는건 아닌지 반성을 해봐야 하는 건 아닌지. 또 나이가 들어서, 공부를 해도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이가 들어서 공부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꾸준한 노력이 없어왔기에,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작년에 헤커스토익으로 동영상강의를 들으면서 3번의 토익시험을 쳤고, 490-450-390이라는 실로 엄청난 점수를 받고, 영어를 내려놓았다. 그러다가 올 4월, 필리핀선생님이 하는 영어수업에 일주일에 2번씩 참여하게 되었고, 선생님의 격려로 또 다시 토익시험을 보게되었다. 달라진건 일주일에 2번, 1시간씩 원어민과 이야기를 하는것, 동영상강의를 듣지 않는 것, 문법공부를 한글로 하지 않는 것, 토익시험이 어떻게 이루어져있는가를 파악하게 된 것, 각 파트별로 어떤 팁을 가지고 있으면 좋은지 에 대해서 알게 됐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해서 8월에 첫 토익시험을 치게 되었고, 490이라는 점수가 나왔다. 여기서, 놀라운건, 나의 마음가짐이었다. 작년과 같은 점수가 나왔음에도, 나의 마음은, 적잖히 흥분상태였다. 그전에는 내가 흔히 말하는 '찍기'에서 얻은 점수였다면, 이번에는 실로, 나의 실력으로 얻은 점수였다. 그런 마음가짐과 함께, 580-690으로 다달이 점수가 올랐다. 그리고 어제, 또 토익시험을 쳤다.  

이제, 어떤 점수가 나와도, 난 나를 믿을 준비가 되어 있다. 나이가 들어서가 아니라, 그저, 나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umber the Stars (Paperback, Reissue) - Newbery Classic
로이스 로리 지음 / Dell / 1990년 9월
평점 :
절판


'안나의 일기'를 읽기 전 웜업 정도라고 생각하고 읽으면 좋을 책. 

시대는 유태인을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았던 시대,  

등장인물은, 유태인 가족. 

원서로 읽는 역사이야기는 조금 무거우면서도, 

서정적으로 다가왔다.  

이런 책들은, 오히려, 지워지지 않아서, 읽고 나서가 문제다. 슬퍼지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 잠언 시집
류시화 엮음 / 열림원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전의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을 기억했던 내게, 한동한 '류시화'는 슬픔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 사이코 테라피스트의 심리여행
권문수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래도 전공이 심리학이다 보니, 심리학 쪽 저서를 한두권 정도는 꾸준히 읽어줘야 한다는 그런 생각이 자리하고 있나보다. 그래서, 나의 중심에 있는 소설책에 곁다리로, 심리학 도서를 몇권, 정신병적 문제가 주제인 영화 몇편이 항상 자리해 있다.(심리학 관련 내용을 감히 곁다리라고 쓰냐고, 욕한다면, 미안함을 금치 못하겠지만)

처음에는 읽지 않으려고 했다. 나도 수많은 케이스를 보며, 보고서를 작성하지만, 남들이 써놓은 사례까지 읽는데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자를 보고, 마음이 조금 움직였다. 프로필에선 저자가 극히 개인적인 인물일 꺼 같은 느낌이었지만, 그래도 시골의 정신병원에서 임상심리사로 근무하고 있는 나에게, 외국의 테라피스트에 대한 마음 속 동경같은 거랄까? 그래서 책을 펼치게 되었다.  

이 책은 심리학과 1학년 생들이 읽기에 적합한 수준의 그리고, 이미 심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복습의 느낌을 주는 수준의 책이다. 그렇다. 이 책은 그정도의 의미이다.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라는 의미를 생각하지 말고 읽어야 할 책이다. 그들에게 무슨일 있었는지, 읽으면서도 그리 궁금하지 않게 만드는 사례이니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 내가 계속 마음에 품고 있는 이 지루함, 외로움, 심심함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이 부분에서 나는 정말이지, 자세를 바르게 하고, 정독을 했다. 그런데, 책을 집어던질 뻔 했다. 아무 내용이 없다.  

책을 다 읽고 나서는 '권문수'라는 저자가 생각보다 괜찮은 사람일 거라는 결론을 내리게 만드는 책인데, 이 책의 주제는 그게 아닐 것이기에, 조금은,, 심리학이 전공인 사람들이라면, 마음을 내려놓고, 관용하는 기분으로 읽어야 될 듯하다. 아니면, 미국의 실화- 링컨, 조승희 사건, 노숙자들의 실태 -에 대해 익혀두는 시간을 갖는다고 생각해도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티브 잡스의 수퍼 업무력 스펙트럼총서 (스펙트럼북스) 4
다케우치 가즈마사 지음, 김정환 옮김 / 스펙트럼북스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스티브잡스의 수퍼업무력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던가? 

(이상하게, 이건 극히 개인적인 감정이라 차마 말 못하겠다.) 이건 스티브잡스의 수퍼업무력을 통해서. 무엇을 말해야 할지를 까먹은 듯 한 자기개발서 인 것 같다. 자기개발서. 자기개발서가 베스트샐러가 되는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누가 보더라도, 이거 하나쯤은 내가 해볼만하겠는데? 이런 생각을 일으키게 만들는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런데, 이건, 위인전도 아닌 것 같고, 분명히, 제목은 자기개발서 인거 같은데, 스티브잡스가 자신보다 나이많은 사람에게, 자신과 같이 일하자고 한 이야기를 독자보고 어떻게 하라는 건지, 뭔가, 번역에 문제가 있었던 건지.  

어찌해볼 도리가 없다.  

그래서 별점을 주지 않으면, 독서평이 써지지 않는 이 시스템에 처음으로, 손을 떨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