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공지영 지음 / 해냄 / 2017년 4월
평점 :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
공지영
자신의 이야기를 쓰는데, 매번 같은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것 같은데 왜 이리도 글을 잘 쓰지? 하고 분한 마음이 일게 하는 이는 박완서이다.
공지영은 매번 운동권 이야기가 들어 있어서 불편한 마음이 일게 하는 이다. 운동권 이야기가 들어 있지 않은 글들은 재미있다. 복불복의 책을 만나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여러 단편이 있고, 운동권 이야기가 어지러이 펼쳐지는데도 불구하고, 왠지 운동권의 삶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젊은 박완서가 있는 듯하기도 하고, 불편하지도 않다.
특히 왜 처음에 할머니는 죽지 않는다로 시작해서 마치 자신의 자서전을 펼치고 있는 듯하다가 호러물로 끝을 맺는 이 얼토당토않은 이야기를 실었는지 알겠다. 너무 재미있다. 재미있는 것보다 우선인 게 있을까? 주술을 외우듯이 말하고 나면 죽어가던 할머니는 누군가의 죽음으로 살아난다. 이것보다 배꼽 잡게 웃기면서도 인간의 비극이 더 있을까? 죽어갈 때쯤 누군가의 기력을 빨아들이고, 그 누군가는 죽고, 할머니는 살아나는. 마치 만화에서 보면 입을 벌리면 하얀 기운이 보이고 그 속으로 누군가의 혼이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모습이 연상된다.
그동안 소설을 보면서 너무 공지영 같다였는데, 오늘은 사실 그건 우리의 이야기이며 나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걸 알 것 같다.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부활 무렵/맨발로 글목을 돌다]에서는 시골 한적한 곳에 작업실을 두고 오롯이 글을 쓰고 있는 지영이, 아이를 누군가에게 맡기고 왔는데, 부랴부랴 돌아가야 하는 지영이가 보인다. 그것을 반복하는 내가 거기에 있었다.
[운명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왜 착한 사람들에게만 저런 일들이 일어나는지 나는 그것이 알고 싶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이제 나는 어렴풋이 알게 되었습니다. 착한 사람들에게만 그런 일들이 일어나는 이유는 그들만이, 선의를 가진 그들만이 자신에 대한 진정한 긍지로 운명을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걸 말이지요.]
잊었던 은희경, 공지영, 에쿠니 가오리 책들을 뒤적여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