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서점 - ‘아마존’의 도시에서 동네 서점이 사는 법
이현주 지음 / 유유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애틀의 잠못이루는 서점

아마존의 도시에서 동네 서점이 사는 법

이현주 지음

 

그리고 김소영의 [진작 할 걸 그랬어]

 

독립서적느낌으로 디자인한 시애틀의 서점 투어 일기, 출판사에서 글밥꽤나 읽었던 저자의 필력이 너무 자연스러워서 저자의 다른 책도 살피게 됐다.

현지인들과 그리 길지 않게 인터뷰했을 텐데, 저자가 필요로 하는 것들은 다 뽑아 낸 것 도, 너무나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풀어낸 것도, 시애틀의 서점주인들과의 이야기를 한글로 듣는 것은 마치 서점이 한국에 들어와 이색적인 매력을 뿜어내는 것만 같다.

 

[때로는 즐거운 일이 때로는 버거운 일이 있어서 삶이 울퉁불퉁해지듯이 서점의 세월도 그렇게 흘러갔으리라. 어쩐지 애틋해진 기분. 물론 이 공간을 계속 유지하려면 긴장과 갈등이 계속되리라는 것도 잘 알아요.

 

구입했다는 사실만으로도 하고자 한 일의 절반쯤은 해치운 듯 한껏 게을러지게 만든다.

저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해요. 매력이라는 연단을 딛고 모두가 읽는 곳을 꿈꾸며. 우린 모두 무언가를 읽고 그 안에서 내 삶과 타인의 삶을, 세상을 발견한다.

 

엄마가 갔던 서점을 아들이 가고, 아버지가 읽었던 고전의 새로운 판본을 딸이 같은 서점에서 사 읽고, 언제든 서점에 가면 아는 얼굴을 한둘쯤은 만날 수 있고, 서점을 약속 장소 삼아 친구를 만나고 근처의 카페와 작은 가게를 돌아보는 휴일의 일상을 그려보니 익숙해서 안전하고 따뜻한 마을의 풍경이 그려진다. 지금 시작해서 사십년 이상의 역삭를 바라보는 서점이 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깃 돈이 많아야 할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됐다.

 

음식과 음료가 구비되어 있을 것, 많은 사람이 걸어서 접근하기 좋을 것, 자주 모이는 정기 방문자, 편안하고 따뜻한 분위기, 새로운 사람과 오래된 사람이 함께할 것.]

 

김소영의 [진작 할 걸 그랬어]도 같이 읽으면 좋다. 놀러 갔다고는 하지만 일하러 간 것이 명백한. 일본 서점을 살펴보고, 한국에 당인리 책 발전소를 낸 김소영의 이야기. 나도 곧 100편의 책 이야기를 마무리하면 다시 대전 동네 서점 몇 곳을 천천히 바라보고 글을 올리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