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The April Bookclub

20225월 둘째주 수요일

 

어느 순간부터 글쓰기, 고전, 철학, 에세이를 가까이 하는 대신 소설과는 담을 쌓아갔다. 밝은 밤, 바깥은 여름, 젊은 작가상 수상작품집 등 소설책은 읽지 않은 채로 쌓여 갔다. 그래서 이 책을 선택했나? 읽으면서 내가 왜 이 책을 독서모임 책으로 선정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독서모임에서 [시선으로부터] 이야기를 하다가 [지구끝의 온실]이 나왔고, 그래 박완서의 글 말고 신진작가들의 책도 한번 읽자. 나도 사놓고 안 읽고, 너도 사놓고 책꽂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지구끝의 온실]에게 눈을 돌려 보자. 뭐 그런 흐름이었지 싶다.

 

책은 대기오염으로 인해 사람들이 도저히 살아갈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고, 이런 오염환경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그리고 숨 쉬고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찾아 헤매는 이들. 그리고 결국 작은 이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세상에서 숨 쉴 수 있는 문을 열어가는 일련의 과정들을 이야기한다.

 

모스바나의 푸른 빛, 프림 빌리지에서 나온 이들이 세계 곳곳에 심어둔 모스바나로 인해 서서히 지구를 찾을 수 있었다. 프림 빌리지는 지구 끝의 온실로 사이보그 레이첼이 가꾼 식물로 숨을 쉬며 살아가던 공간이었지만, 종말이 왔다. 사이보그에게 사랑을 조작했던 이지수는 인간으로 기계를 다룬다.

 

코로나 시대와 맞아 떨어지는 이야기다. 코로나를 대기오염으로 바꾸면 끔찍하고 한심한 인간들의 행동의 퍼즐이 완성된다. 코로나로 인해 삶이 피폐해졌다. 감염되어 죽는 이들이 속출했다. 그러나 나를 포함한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걸리지 않은 채 건강하게 살고 있다. 그리고 지금은 코로나 격리 해체가 되고 마스크를 벗으면서 살아가려고 한다. 코로나 전쟁의 2년 동안 될대로 되라는 사람들이 있었던 반면, 돈이 있으면 다 된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던 반면, 자연에게 숨을 돌릴 시간을 주고, 환경 보호를 위해 자신의 동선을 아꼈던 작은 이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지금의 해제를 알렸다고 생각한다.

 

[이 소설을 쓰며 우리가 이미 깊이 개입해버린, 되돌릴 수 없는, 그러나 우리가 앞으로 계속 살아가야 하는 이곳 지구를 생각했다. 도저히 사랑할 수 없는 세계를 마주하면서도 마침내 그것을 재건하기로 결심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아마도 나는, 그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던 것 같다]

 

해제와 동시에 산으로 들로 오염시키며 떠다니기 이전에 자연에 감사하는 마음 한 번이라고 가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