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가 두려운 그대에게 - 혼자서 익히는 글쓰기의 기초
고수유 지음 / 문예출판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가 두려운 그대에게

혼자서 익히는 글쓰기의 기초

고수유 지음

 

글쓰기가 두려운 게 아니라, 글쓰기의 책을 낸 작가의 세계를 보는 게 두려웠다. 고수유라는 저자가 누구인지도 모르고 책을 샀다. 그가 인용하는 자신의 글이 매력있지도 않다. 나에게는 처음인 저자들이 많은데 깜짝 놀라서 전율이 올만큼 놀라는 작가들도 여럿 만나봤다(나에게는 무루작가가 그랬다). 그런데 이 저자는 등단을 했다는데, 글쓰기란 무엇인지 가르쳐준다는데 글을 잘 쓴다는 느낌이 1도 안든다.

 

첫 장부터 작가님은 어떻게 해서 그렇게 글을 잘 쓰세요?”란다... ...

글을 읽으면서 수정할 곳이 여러 곳 있었다. 내가 알라딘에 서평을 쓰는 좋은 점은 그냥 쓰면 된다는 것에 있다. 꼭 좋은 책을 골라서 정성들여 쓰는 것이 아니라, 읽었는데 안 좋았던 책도 일기장에 적듯이 편하게 안 좋았다고 이야기하면 돼서 좋다. 이 책!!! 안 좋았다.

 

그럼에도 좋았던 부분은 대부분 인용문이었다.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일에서도, 관계에서도 떨어져 자신의 시간을 보듬어 안는 사람이 늘었다. 혼자의 시간이 되면 다양한 생각 속에서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된다. 이때 무엇보다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게 있다.]

:관계 속에서 생성되는 갈등은 혼자 있을 때도 쉬이 가라앉질 않는다. 수많은 사람들과의 만남과 내적 만남 속에서 나를 단단하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누구나 크고 작은 마음의 상처를 갖고 있다. 그림자처럼 따라붙는 생채기를 치유하는 방법은 많다. 그 가운데 글쓰기는 쉽게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치유법 중 하나다. 따로 배우지 않고서도 글을 적어나가다 보면 눈부신 치유의 경험을 할 수 있다.

 

글쓰기에서 정말 심각한 잘못은 낱말을 화려하게 치장하려고 하는 것으로, 쉬운 낱말을 쓰면 어쩐지 좀 창피해서 굳이 어려운 낱말을 찾는 것이다. 그런 짓은 애완동물에게 양회복을 입히는 것과 마찬가지다-스티븐 킹, 유혹하는 글쓰기

--읽자마자 은유작가가 떠올랐다. 일부러 걸리는 단어들만 곱씹으면서 집대성해놓은 그의 글에서 나도 많이 걸렸었다. 그리고 나도 [유혹하는 글쓰기] 있는데, 왜 같은 대목을 보고 이런 명문장을 느끼지 못했을까. 대충 읽지 말고 만나봐야 겠다.

 

참으로 기량이 있는 상 목수는 못질을 하지 않는다. 못 하나 박지 않고 집 한 채를 짓는다. 억지로 못질을 하여 나무를 잇는 것이 아니라 서로 아귀를 맞추어 균형과 조화로 구조물을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문장과 문장을 이어가는 기술도 마찬가지다. 서툰 글일수록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와 같은 접속사의 못으로 글을 이어간다. 그런 글을 읽다보면 못을 박는 망치 소리처럼 귀에 거슬리게 된다. 잘 다듬어진 글의 이미지와 리듬은 인위적으로 접속사를 붙이지 않아도 자석처럼 서로 끌어당기고 어울려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글의 앞머리만이 아니다. 글을 맺는 종지형도 마찬가지다. 서툰 글일수록 것이다로 끝맺는 일이 많다. 한 글에 것이다를 몇 번 썼는가. ‘그리고, ’그러나와 같은 접속사를 얼마나 썼는가 하는 기계적인 통계만으로도 악문과 명문을 구별해 낼 수 있다. 이어령, 한국의 명문

 

마지막으로 역시 인용이다. 김기림 시인의 유리창으로 마치련다.

 

여보

내 마음은 유린가봐, 겨울 한울처럼

이처럼 작은 한숨에도 흐려 버리니......

 

만지면 무쇠같이 굳은 체하더니

하로밤 찬 서리에도 금이 갔구료

 

눈포래 부는 날은 소리치고 우오

밤이 물러간 뒷면 온 뺨에 눈물이 어리오

 

타지 못하는 정열, 박쥐들의 등대

밤마다 날아가는 별들이 부러워 쳐다보며 밝히오

 

여보

내 마음은 유린가봐

달빛에도 이렇게 부서지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