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국내 출간 30주년 기념 특별판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he April Bookclub

2021년 12월 15일 수요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밀란 쿤데라

 

제목이 내 삶을 직시하게 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라니.....

 

[밤은 부드러워라]의 다른 버전을 읽는 것 같았다. 이야기 속에서 흘러가는 파멸의 기운이 닮아 있었다. 의사 토마시는 이혼했다. 여성 편력이 있어 매일 여러 명의 여자와 잠자리를 같이 하는 삶을 오랜 시간 해 왔다. 그리고 테레자를 만났고, 결혼했고,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테레자를 만나기 전부터 관계를 맺어오던 사비나는 그와의 관계가 끊어지고 프란츠라는 유부남을 만난다. 그가 사비나와 결혼을 생각하자 떠난다. 토마시는 테레자를 만나 생활하는 동안 삶의 바닥으로 떨어져 나간다. 의사였던 토마시는 창문닦는 일, 운전하는 일을 하고, 죽음으로 간다.

 

[아무 일도 없었다. 그나마의 힘도 상실했으며 이처럼 사소한 일에도 버텨 낼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 인생의 드라마는 항상 무거움의 은유로 표현될 수 있다. 어둠은 무한성이 아니라 다만 그녀가 보는 것과의 불화, 보이는 것에 대한 부정, 보는 것의 거부만을 의미했다. 그는 집을 뛰쳐나와 거리로 나서듯 그의 삶으로부터 나오고 싶었다.]

[나는 아무것도 보지 못해, 눈이 있던 자리엔 구멍만 있어.] 이 말이 이들의 삶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의 삶도 보여준다. 우리가 가진 눈으로 우리는 어떤 세상을 바라보고 어떤 why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가. 그저 그 자리에 구멍만 있는 것은 아닌 채 가상의 숨만 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소설 인물들은 살아있는 사람들처럼 어머니의 육체에서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하나의 상황, 하나의 문장, 그리고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거나, 본질적인 것은 여전히 언급되지 않았지만 근본적이며 인간적 가능성의 씨앗을 품고 있는 은유에서 태어난다. 작가가 자신의 인물들이 실제로 존재했다고 독자로 하여금 믿게 하려 드는 것은 어리석은 짓일 것이다. 그들은 어머니의 몸이 아니라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몇몇 문장, 혹은 핵심 상황에서 태어난 것이다.

 

그 하나하나의 배신은 최초의 배신으로부터 우리를 점점 먼 곳으로 이끌게 마련이다. 모든 침공은 보다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어떤 악을 은폐한다. 이 악의 이미지는 팔을 치켜들고 입을 맞춰 똑같은 단어를 외치며 행진하는 사람들의 대열이었다. 그녀가 추하게 보려고 한다면 추한 것이고 예쁘게 보면 예쁘다는, 그런 식이었다. 아름다움이란 배반당한 세계. 자신의 시야에서 인간 존재가 지닌 것 중 본질적으로 수락할 수 없는 모든 것을 배제한다. 존재와 망각 사이에 있는 환승역이다.]

 

[마음의 다독임을 절실히 갈구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