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연구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이창희 옮김

 

2021813

The April Bookclub

 

열역학 1, 2 법칙으로 지구의 모든 현상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제법 설득력이 있다. 물론, 이 법칙을 이해한다고 해서 세상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우리는 항상 한시 앞도 보지 못해 끙끙대지 않던가.

 

그럼, 열역학 법칙을 간단하게 보자.

 

열역학 제 1 법칙: 우주 안의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불변하며, 따라서 창조될 수도 없다. 단지 그 형태만 바뀔 뿐이다. 우주 에너지 총량은 일정하다.

 

열역학 제 2 법칙: 일명 엔트로피 법칙. 물질과 에너지는 한 방향으로만 변한다고 규정한다. 즉 유용한 상황에서 무용한 상태로, 획득 가능한 상태에서 획득 불가능한 상태로, 질서 있는 상태에서 무질서한 상태로만 변한다. 엔트로피 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엔트로피는 더 이상 일로 전환될 수 없는 에너지의 양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어떤 시스템 내에서 존재하는 무용한 에너지의 총량.

 

세상이 점점 혼란스럽고 무질서해지고 있다. ?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일정한 구조와 가치로 시작해서 무질서한 혼돈과 낭비의 사태로 나아가니까. 이 방향을 거꾸로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에너지는 창조될 수 없다. ,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사람들은 적절한 기술만 개발하면 우리가 소모해버리는 것을 거의 모두 재생하여 재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틀린 생각이다. 고립된 시간과 장소에서 엔트로피 과정을 역행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과정에서 또 다른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전체 환경의 엔트로피 총량은 증가한다. 재생이라는 것은 유용한 에너지원을 희생하고 전체 환경의 엔트로피 총량을 증대시키는 대가를 치러야만 가능하다. 미래의 생명체에게 유용한 물질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다. 에너지는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옮겨갈 때마다 일정액의 벌금을 낸다. 일할 수 있는 유용한 에너지가 손실된다.

 

사유적인 질문을 던지게 하는 것도 모두 포함된다. 사람이 죽는 것도 엔트로피다. 사람이 살아가는 것 자체가 유용에서 무용으로 가는 것이다. 그러다가 에너지를 모두 쓰면? 죽음에 이른다. 그러면 사고로 갑자기 죽게 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하지? 또 병으로 요절하는 것은 그 사람의 에너지 총량이 거기까지 였던 것이라는 말인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먹이사슬 구조도 엔트로피다. 내가 살아남기 위해 먹는 것. 결국 누군가를 희생시켜야 내가 살아남는다는 것. ... 내가 얻으면 누군가는 잃어야 한다는 생존의 법칙이 엔트로피로 설명되니, 다시금 뜨끔해진다. 내가 지금 누리고 있는 것이 모두 다른 사람의 희생이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살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굉장히 철학적이고 현학적이어진다. 문명의 본질은 욕구를 증가시키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이를 의도적이고 자발적으로 포기하는 데 있다. 소유와 소비는 계속 열악해져 가는 세계의 일시적 현상으로 우리의 주의를 돌려 삶을 어지럽힐 뿐이다. 우리가 소유하는 것들은 결국 우리를 소유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거기에 집착한다. 소유물을 빼앗길까봐 두려워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이 누구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가졌는가에 따라 스스로를 판단한다. 바가바드 기타(흰두교의 경전)에는 이런 말이 있다. 물질에 대해 생각하면 인간은 거기에 집착한다. 집착함으로써 갈망이 생기고 갈망함으로써 분노가 탄생한다. 분노함으로써 망상이 생기고 망상은 기억을 지워버린다. 기억을 잃으면 분별력이 없어지고 분별력이 없어지면 파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존은 자연과 화해하고 생태계와 협동하며 살아가려는 우리의 의지에 달려있다. 바로 코로나 시대가 우리에게 안겨준 숙제이다. 코로나가 터지고 내가 제일 먼저 한 생각도 [덕분에 자연이 좀 쉴 수 있겠군. 그동안 계속 못살게만 굴었으니]

 

과학이란 결국 우리 세대의 가장 어리석은 사람조차 지난 세대의 천재보다 앞서갈 수 있는 학문이다. 그러니 누구보다 잘 나가려고 부단히 애쓰기보다 진정으로 자신이 누구인지를 아는데 도움되는 노동에서 가치를 얻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