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아내가 정신병원에 갔다 - 6년의 연애, 세 번의 입원 그리고 끝나지 않는 사랑의 기록
마크 루카치 지음, 박여진 옮김 / 걷는나무 / 2019년 1월
평점 :
절판


사랑하는 아내가 정신병원에 갔다

마크 루카치 지음

 

하루아침에 당신의 아내가 조현병 환자가 된다면? 한순간도 사랑해 마지 않았던 연인이자 아내가 새로운 회사에 나간 뒤 지나치게 확인하는 작업, 불안으로 인해 일을 전혀 하지 못한다. 이어 우울, 환청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발생하면서 정신질환자 가족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글을 읽으면서 지금 우리 내 의료환경과 많이 닮아있음을 발견했다. 정신과 환자가 입원하는 것에 대한 힘듬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정신질환자를 가족으로 둔 이들은 알 것이다. 입원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그런데 겨우겨우 병원에 데리고 갔는데, 치료는커녕 다시 집으로 데리고 가라고 한다면? . 생각만 해도 싫다. 심지어 현 시국 속 작은 단위의 정신병원은 코로나 검사를 하고 집에서 기다렸다가 음성 판정이 나오면 입원하라고 한다. 입원 병상이 있는 것에 다행이라고 여겨야 할 판국이다.

 

얼마 전 환자 한 명을 검사하기 위해 4명의 성인이 동반했다. 얼마나 힘들게 병원에 왔을지 짐작이 간다. 그런데 검사자는 검사에 협조적이지 않다고 검사 도중 돌려보냈다고 한다. 보호자도 지적장애 3급이었다. 보호자는 다시 와서 검사할 수 없다고 울먹였으나, 검사자는 단호했다. 지적장애 1급 환자가 재진단을 받기 위해 왔는데, 착석이 되지 않는다고 돌려보내고 진단도 받을 수 없게 하는 것에 마음이 아팠다. 그러나 정작 검사자는 이전에도 계속 그래왔고, 진단도 나갈 수 있다며 길길이 날뛰었다. 나는 편법을 말한 것이 아니다. 장애등급법에 나와 있는 대로 검사를 진행하고 그들이 다시 재검사를 받으러 오거나, 서류를 떼러 오는 것을 방지해 주고 싶은 것이다. 이러한 나의 생각이 잘못된 거라며, 자신의 의견에 반기를 든다며 부들부들 떠는 모습을 보니, 의료 현장의 모습이 더 쓸쓸하게 다가왔다.

 

외래에서 예약을 잡아달라고 전화가 왔다. 환자가 많은 상황으로 오래 기다려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그러자 3주 이내에 해야 한다며, 입원해서라도 하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환자 상태를 확인하러 가보니,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점심도 거른 채 검사를 했다. 간단한 색깔이나 숫자를 아는 것은 아예 안되고, 언어적 표현도 안될 뿐 더러 기저귀를 착용하고 있었다. 자리에 착석하는 것도 힘들었다. 스물이 넘은 자신의 아이의 장애를 인식하고 함께 살아온 엄마의 세월을 바라보며 검사를 마쳤다.

 

내가 경험해 보지 않았다고 해서, 세상을 편한 대로 바라보는 태도에 신물이 난다. 내가 잘못을 했고 안했고의 문제를 따지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환자를 사람으로 바라보고 늪에서 나올 수 있게 얼마나 마음을 쓰는지가 중요하다. 이것을 알 길 없는 현실이 참담하다. 그들의 삶에 귀 기울이는 정도는 해 줄 수 있지 않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