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필사한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는 말이 꼭 들어맞게 6월이 장미의 계절일 수만은 없다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글을 필사하게 되었다. 왜 6월이 장미의 계절일 수만은 없는가. 6월에는 무슨 날이 있는가를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 오늘이 그날이다. 광복한지 채 5년도 되지 않은 시점에 터진 민족상잔의 아픔. 일본의 통치에서 벗어났다는 기쁨을 채 누리기도 전에 우리는 또다시 같은 민족 간의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시작했다. 전쟁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맞물릴 만큼 오래됐다. 평화를 주장하면서도 인간은 왜 그다지도 불협화음을 자처하는가. 전쟁의 역사를 통해 인간을 들여다보면, 거기에는 누군가의 위에 서야 한다는 욕심이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 욕심은 유전으로 되물림되는 듯 하다.
인간은 신비롭다. 밝혀진 것보다 아직 알아야 할 것들이 더 많고, 아마도 인류가 생존하는 내내 모를 수 밖에 없는 것들은 여전히 그 자리에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내 후임으로 들어온 자가 나의 우위에 서려고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눈물겹기까지 하다. 내 위에 있지 못해서 상담을 받고 결국에는 상사와 모종의 합의로 나를 눌렀다. 내가 눌린 듯이 보이니 자신이 신이 된 것 같아 우쭐해 하며 회사생활을 하고 있다. 그 사람은 누군가를 밟고 우위에 서고 싶은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그가 왜 그런 인자를 가지게 되었는지 조상의 흐름까지 상상하게 된다. 이를테면, 그의 조상은 대대로 소작농이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로 신분 상승을 할 기회가 생기게 된다. 그 때의 권력의 맛은 실로 엄청났을 것이다. 거기에서 내려오고 싶지 않은 마음과 열등감이 대대로 유전되었을지도. 더 거슬러 올라가 원시시대로 설명해도 기조는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6월은 장미의 계절일 수만은 없다. 전쟁은 사람들이 피비린내를 진동하며 싸우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사람의 마음을 짓밟기 위해 행하는 폭력도 마찬가지다. 서글퍼할 사이도 없이 폭력 앞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고 만다. 안 좋은 유전인자를 만들지 않기 위해, 내 자식과 후손들에게는 폭력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