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통화를 하지 않는 사이. 그런 관계가 전화를 오면 태세는 하나다. 받는 거다. 받기 꺼림칙한 상태에서 받는 상황도 있고, 의문을 가지고 전화를 받는 상황도 있지만, 보통 우리는 여러 가지 마음을 가지면서도 걸려온 전화에 응하게 된다.

이번 전화는 같은 동에 사는, 대학교에서 같은 박사 랩실이지만 함께 수업을 듣지는 않았던 애매한 관계의 사람에게서 전화가 왔다.

서로 선생님이라는 호칭으로 만나면 어색하게 웃는 사이. 그런 사람이 만나면 신경과에서 일하고 싶으니, 신경과 심리실에서 자리가 나면 연락을 달라는 이야기를 여러 차례 하였다. 그 뒤 신경과 심리실에서 자리가 나서 연락을 했었다. 그러나 그 자리는 다른 사람에게 돌아갔다.

그러고 약 1년여가 지나서 연락이 왔다. 이사를 간다는 것이다. 집에 위인전이 있냐고 물으며, 집에서 처치곤란의 비싼 아이 관련 물품들이 많아서 정리해서 주고 가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맙다고 하고, 원하는 날을 물어보고 그날 받기로 하고 전화를 끊었다. 물론 쓰잘데기 없이 1시간 이상 길게 수다를 떨며 친근감을 표하는 말들을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은 것은 당연지사다. 일주일에 하루 정도 나도 감당할 수 없는 수다의 봇물이 터지는 것에 깊은 반성을 하지만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잘 참았다가 목요일쯤되면 나도 몰라 상태가 되면서 관계의 깊이를 생각하지 않고 마구 떠들어대고 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약속한 날이 됐다. 선물을 사서 찾아갈 생각으로 연락을 했는데,

아직 안 읽었어요.”라고 하더니 끊어버리는 것이다.

다음 날 문자가 와 있었는데

아이 숙제를 봐주는 중으로 화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전화가 왔더란다. 아이에게 자신이 화가 많이 나 있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 그렇게 말했다며 미안하다는 것이다.

불과 몇 달의 나였다면 화가 많이 나도 겉으로는 괜찮다며 웃는 이모티콘을 보냈을 것이다. 이번에도 습관적으로 쓰다가 지우고, 한참을 생각했다. 그리고

. 다 읽고 나서 주고 싶으실 때 연락주세요.”라고 답을 했다. 그러나 나의 답장에 대한 답장은 없었다.

화도 상대를 보고 낸다. 내가 화를 낼 만한 상대라고 생각했기에 그런 행동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내가 대학 담당 교수였다면 그렇게 화를 내며 전화를 받을 수 있었겠는가. 그리고 자신의 화를 조절하지 못해서 화를 낸 것과는 다른 상황이다. 아이에게 자신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화를 낸 것이다.

약속 시간이 됐는데도 연락조차 하지 않았던 상대방. 그 사람은 그저 자신의 집이 비싼 가격에, 그것도 집을 보지도 않고 제 때에 팔렸다는 것을 자랑하고 싶어서 전화를 걸었던 것 뿐이다.

 

이번 주말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꽤재재한 상태로 산어흥(가제)라는 음식점에 스파게티를 먹으러 갔다. 오전에 땀을 내며 아이들과 놀고 씻지 못한 상태로 음식점에 갔다. 남편이 고른 그 집은 이전에 남편과 둘이 한번 갔었고, 맛은 그럭저럭 먹을 만 했다. 딸아이가 스파게티를 좋아한다. 갔더니 사람이 많아서 대기를 해야 했다. 9 테이블 정도 기다려야 했고, 그 사이 옆 가게의 강아지를 창문 밖으로 보고 있었다. 딸아이는 배고프고 피곤한지 강아지를 사달라며 떼를 썼고, 나는 안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남편은 다가와서 나를 거들었다. 그러나 한 명은 대기 상태를 확인했어야 했다. 내가 물어볼 때만 남편이 확인했다. 내가 세 번 째 쯤 물어보니 대기가 지나갔다는 말이 돌아왔다. 그래서 가게 점원에게 물어보기로 했다. 가게를 여니, 점원이 나왔다. 막 우리 가족의 순서가 지나간 것이다. 그래서 못 들었다고 하니, 강경한 태도, 그리고 나를 훑어보는 눈빛과 함께,

가게 앞 대기판 맨 뒤에 다시 이름을 적고 기다리라는 것이다. 여태까지 기다렸는데, 다시 맨 뒤로 가서 기다리라니.....라는 생각에 당황스러운 눈빛이 되니.

여태까지 기다리는 사람들 안보이냐며 나를 무슨 무임승차하는 사람처럼 바라보았다.

내가 소리를 못 들었다고 하자, 자신이 큰 소리로 여러 번 불렀는데 못 들은 것은 나의 잘못이니 맨 뒤에 다시 적고 처음부터 기다리라는 것이다.

화도 상대를 보고 낸다.

거기에 대해 남편은 기다리자, 어디 가서 먹냐 라는 말을 한다. 그래서 다른 곳에 가서 돈까스를 먹자고, 다시 언제 기다리냐는 말로 자리를 떴다.

 

아침부터 계속 잠을 자다가 자신만 번지르르하게 씻고 나온 남편은, 꼬질꼬질하고 어디서 구한 옷을 맞춰 입고 온 사람을 보면서 종업원이 그러한 태도를 취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좀 씻고 깨끗하게 다니라는 말을 했다.

 

집으로 가는 길에 있는 음식점에 가서 밀면, 돈까스, 볶음 우동을 시켜서 먹었다. 아이들은 시장이 반찬이라고 너무나도 맛있게 밀면을 뚝딱했다.

집에 돌아와 베란다 작은 풀장에 물을 받고 아이들을 씻기며 나도 머리를 감았다. 밖에 베란다에서 벌거벗은 거 다 보인다는 남편의 말에

당신이 그럼 좀 도와주던가라는 말을 했다. 그런다고 나아지는 것은 없다. 그래도 오늘은 화는 안내는 날인 그런 날일 뿐이다.

아무 말을 안 해서 남편이 몰라주는 것이라서 말을 해야 안다는 것은 실제 부부에서는 맞지 않는 말이다. 말을 하면 잔소리이고, 말을 안 하면 몰라서 그런다는 것은 남편의 그러고 싶은 마음이다. 그냥 모른 채 자신만 편하고자 하는 이기적인 마음일 뿐이다. 사랑해서 결혼했다는 말이 무색한 부부는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상대방의 무례한 태도를 종종 접하게 된다. 그럴 때 나는 화를 낸 적이 없다. 마치 가게에서 아르바이트 도중 미친 손님을 만나도 아무 일 아니라는 듯이 대응을 하는 것처럼. 그러나 조금씩 태도의 변화를 해 나가려고 한다. 상대방의 무례한 태도에 나도 기분이 나쁨을.

... 이번 산어흥에서 일하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 다시는 가지 않는 방법밖에는. 그것을 염두하고 그런 이야기를 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더 기분이 좋지 않지만. 아이 둘을 데리고 스파게티집 가면 안되나. 거기 물을 내가 흐린 것인가. 생각할수록 감정적으로 가는 날이었다. 글도 감정을 타고 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