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구스타 쿠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여행 3
이겸 지음 / 은행나무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구스타 쿠바...'나는 쿠바를 좋아한다'라는 뜻이란다. 제목만 읽어도 저자가 어떤 시선으로 쿠바를 바라보고 있는지, 어떤 목소리로 쿠바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줄지가 짐작된다.

쿠바는 어떤 땅인가? 아직 우리나라와 국교를 맺지 않은 나라, 한때 이상하리만치 우리나라 젊은이들에게도 영웅화된 혁명가 체 게베라가 활동하던 나라, 미국과 근접하고 있지만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고 오히려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나라, 야구.배구.권투 등의 스포츠에서 세계 최강임을 보여주는 나라.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나 역시 쿠바를 이 정도까지 알고 있다. 이렇게 쿠바는 우리나라에게는 약간 생소한 나라이기에, 금기와 비밀, 환상과 동경의 이미지가 교차되어 다가온다. 그래서 다음에 해외여행을 간다면 이곳을 꼭 가보리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겸이란 사람이 먼저 다녀와서 책을 냈다. 다녀와선 이렇게 외친다. 메구스타 쿠바!

이 책은 표면적으로는 사진이 들어있는 쿠바 여행기의 모습이다. 하지만 그 내면은, 읽으면 읽을수록 '여행기'라는 두루뭉실한 분류를 넘어서는 모습을 하고 있다. 쿠바에서 두 번째로 크다는 산티아고 데 쿠바를 시작으로 사탕수수 농장이 드넓게 펼쳐진 바야모, 혁명 성지 산타클라라, 카리브해가 빛나는 바라데로, 헤밍웨이와 체 게베라의 흔적이 숨쉬고 있는 수도 아바나 등 쿠바 땅 곳곳을 택시, 오토바이, 도보로 누비며 만난 그 땅의 사람들...그들과 애정어린 교감을 나누고, 그들의 땀과 눈물을 보며 안타까워하고, 혁명의 뒤안에서 소외되고 고통받는 이들의 아픔에 가슴 아파한다.

쿠바의 혁명 1세대들은 백발 노인이 되었지만 여전히 혁명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집앞 길가나 마당에 혁명가들의 초상을 늘어놓은 모습을 보며 스스로 독립을 쟁취한 그들의 자부심을 부러워하며, 백범과 도산의 초상화를 걸어놓지 않는 우리의 모습을 떠올려본다. 거리 곳곳에서 나타나 음악을 연주하거나 춤을 추는 밴드와 춤꾼들의 자유로운 예술적 영혼에 동화되기도 하고, 여느 관광객처럼 관광지 곳곳과 식민지 시절 지어진 스페인 건축물들을 구경도 한다.

허나 무엇보다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그 땅 사람들과 호흡하는 저자의 모습이다. 대식구의 가장인 어부의 집에서 술을 나누어 마시고, 자전거 택시 운전사가 길을 잘 몰라 목적지를 못 찾았지만 짠 소금덩어리로 변한 그의 땀에 식구들의 생계가 달려 있기에 넉넉한 차비를 건네는 인정도 베푼다. 혁명은 끝났지만 혁명의 수혜자는 과연 누구인가? 혁명과 독재는 무엇인가? 여행 내내 저자의 머릿속에서 맴돈 질문. 하루하루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그곳 사람들의 일상이 눈에 밟혀, 혁명이 성공했다지만 정작 혜택받아야 할 이들이 혜택받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항에서 "북조선에서 왔습니까?"를 묻는 쿠바 여자가 다음에는 "어디에서 왔습니까?"라는 질문을 해주길 바라며 쿠바 땅을 떠난다.

메쿠스타 쿠바. 나는 쿠바를 좋아합니다. 아니, 어쩌면 저자는 "나는 쿠바 사람을 좋아합니다"라고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리고 조용히 외친다. 혁명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9-03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쿠바와 쿠바의 사람들을 좋아하게 될 것 같군요. 그냥 여행책이 아니라 많은 질문들을 던져주는 것 같군요. 쿠바라는 나라의 매력을 느껴보고 싶군요.^^

냥냥 2007-09-03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쿠바 음악을 좋아하는데... 문득 이 리뷰를 보니 이 책이 맘에 드네요. 저도 이 책을 읽으면 쿠바엘 정말정말 가보고 싶어질 것 같네요.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