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음식 잡학 사전 - 음식에 녹아 있는 뜻밖의 문화사
윤덕노 지음 / 북로드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먹음직스럽다. 다채롭다. 풍성하다.

한 권의 책에서 산해진미를 맛본다. 이름하여 <음식잡학사전>이다.

'사전'이라는 제목에서 느껴지는 따분함에 지레 겁을 먹지 말자. 음식에 들어가는 재료의 학명부터 영양학적인 가치, 요리법 등이 서술된 그런 사전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음식부터 숱하게 이름만 들어본 음식, 한 나라를 대표하는 음식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식들의 기원과 유래, 음식에 얽힌 일화 등이 다양하게 펼쳐진, 재미있는 사전이다.

우선 평소에 자주 먹으면서도 잘 몰랐던 음식의 여러 가지 면면을 알 수 있다. 몇 가지 항목을 살펴볼까? 채소냐 과일이냐라는 논란의 중심에서 자유롭지 못한 토마토는 미 연방법원이 음식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라는 이유로 채소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에 지금도 채소로 여겨지고 있단다. 또 김밥은 일본의 노름꾼이 노름하느라 밥 먹을 시간이 없어서 만들어서 먹게 된 음식이고, 어묵은 생선을 먹을 때 가시가 걸리면 요리사를 처형하던 진시황을 위해 고민하던 요리사가 생선살을 다지다가 우연히 만들게 된 음식이다.

'음식에 녹아있는 뜻밖의 문화사'라는 부제가 잘 말해주듯 음식에는 그 나라의 역사와 사회, 문화가 잘 녹아있다. 프랑스혁명 이전에는 일반 시민이 흰빵을 먹으면 처벌을 받았는데, 혁명 이후에 비로소 빵의 평등권이 실현되어 부자나 가난한자 모두 빵을 평등하게 먹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게 되었다고 한다. 빵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나 더 하자면 크루아상은 오스만투르크제국의 침략을 받은 오스트리아가 승리할 수 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제과업자가 오스만투르크제국의 깃발에 그려진 초승달 모양으로 만든 빵으로, 마리 앙투와네트가 자신의 고국에서 제과기술자를 데려와 프랑스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시켰다고 한다.

음식 이외에도 고대 이집트에서 발명한 질병 치료제로 쓰였던 위스키, 왕이 약술로 하사한 술로 너무 많이 마셔서 죽은 사람도 있었다는 소주 등 술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다.

읽으면 읽을수록 눈이 즐겁고 입이 즐겁다. 저자의 박학다식함에 혀를 내두르며, 입맛을 쩝쩝 다시며 책의 내용에 푹 빠진다. 보통사람의 음식부터 황제의 음식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물론 아직 먹어본 적도, 본 적도, 먹을 일도 없는 음식도 많다. 황제의 음식으로 소개된 푸아그라, 바다제비집요리, 삭스핀 등이 그것이다. 그래서 좀더 서민적이고 평범한 음식이 좀더 많이 소개되었다면 하는 약간의 아쉬움이 있기도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내 삐딱한 편견으로 인한 아쉬움일 뿐이다. 색다른 맛이 있는 색다른 책이라고 모두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8-20 16: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당선 축하합니다.^^

책향기 2007-08-20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재밌을 것 같아요. 리뷰 잘 읽었습니다. 당선도 축하드리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