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주도 4차 협상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이 있다고 전해지고....
협상장 분위기도 좋지 않다고 전해지고....
제주도 통신.... 제주도는 지금 4다도라고 한다. 바람, 돌, 여자, 그리고 전경.
어차피 북핵 사태와도 얽혀져서 우리 측이 목소리를 크게 내지 못할 상황.
미국은 그걸 다 계산하고 있을 걸?
혹시 이제는 정부도 포기하고 싶어지지 않을까? 아마 그것도 어려울거다.
큰 부상자 없이, 또 엉뚱한 양보 없이 마무리 되었으면 좋겠다.
2. 주말농장 마감
어제 가서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고구마와 당근을 다 캐고,
눈도장 찍어 놓았던 아름드리 늙은호박을 따 가지고 왔다. ^-^v
1) 당근은 땅이 단단해서 그런지, 생긴 게 볼품이 없다. 수퍼 판매대에 오를 만한 당근은 딱 하나 나왔다.
그런데 와~~! 볼품 없어도 맛이 무척 좋다!
그런데 다른 가족들은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 수퍼의 당근보다 무슨 향이 더 강한 것 같다나?
양은 많지, 먹을 사람은 없지, 해서 어제는 즙을 내서 먹었다.
녹즙기 없어서 강판에 갈아서... 아고 팔이야.... ㅡㅡa
2) '고구마 줄기에 달려나오듯이 줄줄이 드러나다' 라는 말은 우리 밭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고구마 줄기를 당기면 고구마는 땅 속에 남은 채 뿌리가 잘려서 줄기만 들린다.
게다가 고구마가 그렇게 땅 깊숙히까지 들어가서 열리는지도 몰랐다.
땅은 단단한데, 고구마는 연하니.... 조금 세게 당기면 고구마가 부러지고, 삽으로 파헤치면 고구마가 잘려나와서 어제 그 빗속에서 온몸에 흙칠 해가면서 마치 고대 유물 발굴하듯이 호미로 단단한 땅을 20cm 깊이로 파내면서 밭을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온통 헤짚으면서 고구마를 '발굴'해 냈다.
그 여파로 지금 주먹 쥐기가 힘들다.
좀 더 간단한 요령을 아는 분은 좀 갈켜 주세요. 내년에 써먹게.... ㅡㅜ
3) 애호박이 자라면 늙은호박이 된다는 걸 처음 알았다. 나는 여태 종자가 다른 건 줄 알았었네...
아직 김장 무와 배추가 공동 밭에 남아있지만, 그것은 언젠가 '김장 하자~' 는 소식이 있을 때 가면 될 것 같다.
3. 요즘 독감 백신 접종 계절
해마다 독감 백신 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그 이유로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이른바 '수입백신'과 '일반 백신' 간에 1만원의 가격 차이가 있는데, 이 둘의 차이를 일일이 설명하고 선택하도록 하는 게 문제.
항원은 같지만, 보존제 성분 하나가 차이가 나고, 일인분씩 주사기에 담아져 나온다는 것이 수입백신 생산자의 설명이다. 또다른 장점은 소아의 경우 1회만 접종해도 된다는 것.
그래서 나는 주로 일반백신 위주로 구입을 해서 성인은 일반백신, 그리고 일반백신 2회를 맞아야 하는 소아는 수입백신 1회를 맞도록 권유해 왔다. 그리고 성인 중에서도 '좋은 것'을 원하는 사람들도 수입백신을 놓는다.
그런데 여기에 두번째 장애가 있으니, 바로 수급 문제.
위와 같은 원칙대로 접종을 하고자 해도 초기에는 일반백신 생산이 안되어서 애를 먹다가,
요즘은 수입백신이 동나서 구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환자들에게는 궁색하게 수급이 어렵다는 설명을 해야 하고.... 신뢰에는 금이 가게 된다.
이래저래 골치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