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내인생의 ~ ' 를 주제로, 자신에게 큰 영향을 미쳤던 사람이나 책 등에 대한 글을 써달라는 부탁으로 쓴 글이다.
---------------------------------------------

피흘리며 쓰러진 노숙자 어떻게 하겠냐? 묻던 선생님

한창 사춘기였을 때, 성당 주일학교에 학생들이 무척 따랐던 선생님이 계셨다.

당시 대학생이었던 선생님은 생각이 깊고, 후배들의 고민을 진지하게 들어주었고, 자칫 지루하거나 엄숙해지기 쉬운 미사에 기타 반주를 시도하기도 한, 독특한 분이었다.

어느 주일날 수업 시간에 선생님께서 질문을 하셨다.

“만약 여러분이 길을 가는데, 육교 밑에 머리에 피 흘리고 쓰러져 있는 사람을 보았다. 그 사람의 남루한 옷차림으로 보아 노숙자 같았다. 여러분 같으면 어떻게 했겠나”

“그래야 했죠? 하지만 전 어제 그러지 못했어요”

이제 막 사회나 종교, 원론적인 가치에 눈뜨기 시작하던 때인 학생들은 다양한, 그리고 지극히 지당한 대책들을 내놓기 시작했다. 경찰에 신고한다, 병원에 데리고 간다, 치료비를 쥐어준다 등등. 나는 ‘부축해서 응급실에 데리고 간다’고 대답했던 것 같다. 이에 대해서 어떤 방법이 타당한지에 대한 설명을 기대했던 나는 선생님의 대답에 그만 얼어붙고 말았다.

“그렇죠, 그래야 했죠? 하지만 전 어제 그러지 못했어요.”

의외의 이 대답이 내게는 여러 가지 면에서 충격으로 다가왔다.

우리가 ‘당위’라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이에는 상당한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선택의 과정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에 생각이 미쳤고, 그런 선택과 실천에 대한 고민 없이 머리와 입으로만 나불나불 ‘부축해서 응급실에 데리고 간다’고 대답했던 것이-중3 여학생이 과연 할 수 있는 일인지-부끄러워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또한 대부분 사람이 무심코 지나쳤을 상황에 대해 비록 그 자리에서 돕지는 못했지만 마음에 두고 고민한, 그리고 그런 마음의 짐을 후배들과 나눈 선생님의 문제의식 덕에 나는 사회 문제에 대해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때의 각성 덕에 진학할 때 약간의 불이익을 감수하면서도 ‘좀 더 사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방향으로 진로를 바꿀 수 있었고, 이것이 그 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많은 귀중한 만남과 경험의 바탕이 되었다.

당위를 현실로 만들어내는 실천, 그리고 행동이 뒷받침되는 말. 늘 이 명제 앞에서는 부끄러움을 지울 수 없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산 2004-02-26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 부탁을 받고
처음에는 20년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에 관해서 쓸까 했다. 나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셨고 지금도 나의 super ego로 작용하시는 분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그분에 대해 알리고 싶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내 너무 개인적인 글이고, 지금은 재혼하신 아버지나 새어머니께서 혹시라도 마음 상하실까봐 생각을 접었다.

두번째로 쓴 글이 위의 글이다. 써놓고는, 또 만에 하나 우리 시댁 식구 귀에 들어가면 앞으로의 내 활동에 브레이크 걸릴까봐 망설여졌다. ( 시댁 어른들은 내가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 것을 전혀 모르신다. 아직도 봉건시대... ㅜㅡ ) 흐흐... 그래서 과거의 이야기만 쓰고 현재는 두리뭉실... 게다가 선생님도 부담스러워 하실까봐 선생님 이름도 안밝히고..

그래도 조심스러워서 다시 세번째 글로 책에 관한 글을 썼다. 얼마전 지식에 관한 다치바나 다카시를 성토한 글을 조금 손보아서 (앞으로는 그의 책을 사지 않겠다는 등의 과격한 표현은 빼고...) 지식을 대하는 태도를 중심으로 원고를 보냈다.

그런데, 기자로부터 자기와 편집자가 손을 본 내용이라고, 그렇게 실어도 괜찮은지 묻는 답글이 왔는데....
오마이 갓! 내가 다치바나의 책을 '권유'하는 것으로 내용이 바뀌어 있었다!!
남의 글을 이렇게 난도질하다니...!! 기자에게 항의 메일과 함께 두번째 글을 보냈더니 차라리 그거로 하잔다.

이런 우여곡절로 해서 위의 두리뭉실한 글이 나오게 되었다.

마태우스 2004-02-26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신문을 보니 술에 취해 지하철 선로에 떨어진 아주머니를 젊은이가 구했더군요. 50미터 앞에서 전차가 오고 있었는데 말입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안했으면 후회할 뻔했으니까라고 했던가, 하여간 굉장히 감동적인 장면이었습니다. 저같으면 그렇게 할 수 있었을까요? 글쎄요..... 자신 없습니다.

마립간 2004-02-26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과거에도 답을 못 얻었지만 현재는 이성적으로 어떤 판단이 서는데도 불구하고 감성적으로 실천이 어렵습니다. 가을산님은 활동하시는 몇가지를 생각할 때 비교적 실천적 삶을 살고 계신 것 같습니다.

진/우맘 2004-02-26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민되는군요. 모르는 이의 생명과, 내 옷에 묻을 악취와 혈흔...예전같으면 쉽게 전자를 택했을 이 갈림길, 그런데 요즘은... 선뜻 전자를 택할 수 있을지, 상당히 의심스럽습니다. 휴우...

waho 2004-02-26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을 돕는다는 것이 옳은 것은 알지만 실천은 너무 힘들죠? 전 다른 사람을 돕는 일에 내가 위험하다면 돕지 못할 거 같읍니다. ㅠㅠ

가을산 2004-02-26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술에 취해 지하철 선로에 떨어진 아주머니"라... 조심해야지... --;;
지하철 같은 경우는, 그것도 순식간의 일이니까, 저라면 도저히 못뛰어들 것 같아요.

sooninara 2004-02-26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지하철로에 떨어지는 분중에는 술취해서 떨어진경우가 많더군요..
뉴스에서 그런경우를 보면 저는 도저히 구하러갈것 같지도 않고 그렇게 떨어진분들에게도 화가납니다. 다른사람의 목숨까지도 위태롭게하는거잖아요..구하려고한사람이 무사해서 다행이지만. 이수현씨처럼 죽을수도 있는데..
빨리 지하철공사에서 낙하방지시설을 만들어야겠지요..
언제까지 의인들에게 목숨을 맡길수는 없잖아요..

ceylontea 2004-02-27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항상 생각만 할 뿐 왜 실천을 하지 않는 것 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