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다. 의사 말만 들으면 안된다. 울 엄마도 수술하려고 입원했는데 수술 당일에 담당의가 울 엄마가 아스피린을 복용중인 것을 발견해서 수술이 취소된 적이 있다. 황당한건 아스피린 처방은 입원한 병원의 신경과의사에게 받았다는 것. 수술환자에 대한 협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분노와 이러니 다들 서울 대형병원으로 몰려가는가 싶은 허탈함이...

현재를 포기하지 말라고 말한 나의 내심은 치료를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었다. 현재의 삶을 치료에 매진하는 데 써야 미래가 올거라는 예언. 이 시답잖은 예언은 과연 맞을까. 우리의 질병과 사고가 의학의 과학적 성취 안에서 해결될 수 있다면 수술이나 재활, 약물치료는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의 질병과 사고가 의학의 과학적 한계에 속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말기암이 그 대표적인 예다.
미래(來)는 없다. 말 그대로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래가 있다고 믿을 수 있는 건 현재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과거의미래이지 않은가. 아이러니하게도 미래가 있다는 주장의 근거는현재뿐이고 현재의 우리 자신만이 미래의 근거다. (그러니까...
좀 복잡해지는데) 현재를 사는 것은 미래를 사는 것이다. 그러나 오지 않은 미래를 위한 싸움 따위를 하느라 현재를 살지 못한다면 미래를 살지 못하는 것이다. 방점을 미래에 찍으면 결코 미래에 도달할 수 없다. 미래는 또 저만치 달아날 것이기 때문이다. - P26

병원에 입원한 사람에게는 의료진이 시키는 대로 해야 산다는 기계적 믿음이 있다. 임연주 씨는 나에게 절대로 그러면 안된다고 눈을 부릅떴다. 의사가 하라는 것을 당당히 의심하고 되묻고 이해하고 질문할 것! 돈을 지불하는 고객이 왕이라는 생각을 갖고, 의료진의 냉정하고 피곤한 말투에 주눅 들지 말 것! 기계적 믿음에 안주하지 말 것! 귀찮게 하는 자신을 의사가 미워해치료에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 걱정하지 말 것! 의사는 그렇게 개인적인 감정으로 옹졸해질 만큼 여유 있지 않으니.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Black Book 검은 감정 - 마음을 알고 싶은 당신을 위한 70가지 부정감정 안내서 자기만의 방
설레다(최민정) 지음 / 휴머니스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감정은 나의 것이고, 부정적인 감정이 떠오를 때는 바로 행동으로 나타내지 말고 한 발 물러서서 생각하자. 똑같은 패턴을 반복하지 말고 다르게 생각해보자. 사실과 추측을 구분하자. 부정적인 감정이라고 무조건 무시하거나 외면하지 말고 해소할 방법을 찾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대가 어떤 식으로 사랑하고 친절을 베풀며 배려하는지 우리는잘 모릅니다. 그럼에도 타인에 대해 탐구하는 대신 상대의 생각도나와 같을 거라고 지레짐작할 때가 많습니다. 나의 방식으로 마음을 전하고, 그 이상을 돌려받기 바라며, 결국 내 마음에 들지 않아실망하고 힘들어하죠. 우리 대부분이 상처받지 않아도 될 일로부터 그렇게 상처를 받습니다. - P2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하는 눈
노순택 지음 / 한밤의빛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꼭 읽고 싶어서가 아니라 어떤 의무감으로 구입할 때가 있다. 이 책은 읽고 싶기도 하고 사야한다는 의무감도 작용한 경우인데 내 예감대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다. 과거부터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부조리, 모순, 원한 등등이 얽힌 사연들.
‘사람의 착함엔 한계가 있‘지만 ‘사람의 나쁨엔 한계가 없다‘는 말이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이라 더 괴롭고 아프다.
‘보고싶지 않아도 보는 것이 나의 일‘이라는 자각을 하는 사람의 글은 일견 지금 내가 하는 일과 연결되는 부분이 있어서 더 마음에 와닿았는지도 모르겠다. 아프지만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의 모습, 남의 삶을 사진으로 담는 게 점점 어려운일이 되고 있다. 고통의 모습이건, 환희의 모습이건. 사람의 모습을 통해 세상의 빛과 그림자를 말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사진의 여전한 가치요 정신이겠지만, 사진을만드는 사람도 사진을 대하는 사람도 한결같을 수 없다는 걸 사진의 사회사는 말해준다. 사람 사진이 가장 쉽다. 사람 사진이 가장 어렵다. - P38

찍혀 있는 사진을 읽는 여러 방법 중 하나는, 사진이 보여주는걸 보되 그 사진이 감추고 있는 게 무엇인지 추리하는 것이다.
사진은 필연적으로 보여준다. 필연적으로 감춘다.
보여주는 동시에 감추는 사진의 이중성은, 사진을 보는 데 멈추지 말고 읽으라고 요구한다. 프레임 안에 갇히는 동시에 탈출도 모색하라고 속삭인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