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역사에서건, 일상에서건 가장 부질없는 말이 “그 때 이러저러 했더라면...”하는 가정일 것이다. 이미 지난 일에 대해 왈가왈부해봤자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걸 알면서도, 이 또한 모두 사람의 일이다보니, 그 일에 대한 아쉬움이 클수록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
조선 역사에서도 이처럼 아쉽고 안타까운 생각을 들게 하는 인물들이 여럿 있다. 소현세자도 그 중의 한 명이다. 역사상 가장 치욕스런 시대에 ‘세자’라는 위치에 있었던, 그래서 볼모로서의 삶까지 살아야했던 비운의 인물이다. 세자로서 병자호란과 삼전도의 굴욕을 목격한 것으로도 모자라, 그 자신이 봉림대군과 함께 청에 볼모로까지 가게 되는 수모를 겪는다. 둘 중 하나가 아닌, 세자와 대군까지 모두 볼모로 가게 된 것은 그 때의 조선 상황이 얼마나 처절한 것이었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청에서의 몇 년간의 삶으로 인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운명은 완전히 달라진다. 냉혹함 속에서 현실을 인정하게 된 소현은 청과의 교류에 힘쓰고 아담 샬과의 만남도 갖는 등 앞선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그와는 반대로 봉림은 냉정한 현실을 겪으면 겪을수록 반청의식이 강해지게 되어, 보위에 오른 뒤 재위 내내 ‘북벌론’을 주장하며 청에 대한 반감을 고수한다. 두 사람 모두 그들이 역사를 인식하는 각자의 방법이었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었으나, 다만 안타까운 것은 그 둘의 방법이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는 점이다. 소현의 방법이 성공하기에는 인조를 비롯한 조선의 의식이 소현의 앞서가는 현실 인식에 미치지를 못했고, 봉림의 방법이 성공하기에는 조선의 국력이 너무도 보잘 것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모두 불행한 결과를 맞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책은 소현세자가 청에서 있었던 시기의 일들을 그려내고 있다. 그가 조선의 세자로서 겪어야 했던 굴욕과 냉정한 현실들이 곳곳에 드러난다. 그리고 소현을 대하는 인조의 태도 변화도 조금씩 그려지고 있다. 인조의 입장에서는 그 스스로가 반정에 의해 등극한 태생적 한계 때문에, 더더욱 보위에 대한 강박관념이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볼모로 보낼 때의 마음과는 달리, 자신과는 역사적 · 정치적으로 달라지는 시각을 갖고 성장하는 아들이 두려웠을 것이고, 아들에 대한 연민은 정치적 라이벌이라는 무게에 짓눌려버린 듯하다. 편협한 한계에 머무른 인조의 현실 인식과 그런 배경 속에서 맞게 된 소현세자의 미심쩍은 죽음은 여러 가지 의문을 갖게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보니, 그 인물들의 사후에 대한 기록은 승자의 입장에서 쓰여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남아 있는 부족한 자료로는 특정 사건의 정확한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소설들은 후대인으로서 그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 위한 하나의 노력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