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폐인 - 남자의 야생본능을 깨우는 캠핑 판타지
김산환 지음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의 글은 어쩐지 서글프다. 이 시대의 가장들 혹은 남자들이 짊어진 삶의 무게가 느껴져서 슬프다.
그런데 그의 글은 또 따뜻하다. 캠핑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고, 삶을 사랑하고 또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져서 따뜻하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작가의 이름을 처음 들었다. 오랜 기간 여행레저 전문기자로 활동해왔다는 작가는 캠핑을 통해 그의 인생과 사랑과 가족에 대한 애틋함을 그려낸다. 또한 떠나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산에서 밤을 지새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외로움의 소리를, 새벽의 느낌을 글로 풀어낸다. 그의 글을 읽다 보면, 세월 속에 켜켜이 묻혀 있던 추억의 한 자락이 어느새 이만큼씩 비어져 나온다. 사람은 대개 다른 이의 경험을 들으면 자신의 기억을 견주게 마련이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으며 자신의 여행 혹은 캠핑 기억을 떠올려보지 않았을까?

   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며, ‘아! 맞다! 그 때 캠핑 갔을 때 정말 재미있었는데~’하고 오래전의 캠핑 기억을 떠올렸다. 스카우트와 한별단 활동을 하면서 수차례 캠핑을 했던 기억과 함께, 그 시절 이후로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추억의 얼굴들이 떠오른다. 초등학교 때, 스카우트를 할 때는 처음으로 집 밖에서, 그것도 ‘텐트’에서, 더군다나 친구들과 함께 잔다는 것이 너무난 신기하고 즐겁기만 했다. 고등학교 때는, 한계령을 도보행진으로 마친 뒤 막사용 대형텐트에서 계곡의 밤공기를 맡으며 잠이 들었었다. 대학 때는 캠핑의 기억도 아니건만, MT 갔을 때 새벽녘에 홀로 나와 보았던 동강의 물안개도 기억 저편에서 뽀얗게 다시 일렁인다. 그런 기억들이 떠오르면서 다시 여행에 대한 그리고 캠핑에 대한 그리움이 솟구쳐 오른다. 내친김에 확 질러버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 처음에는 ‘폐인’이라는 단어의 어감 때문에, ‘어지간히 캠핑을 좋아하는 사람’이겠거니 하고 지레짐작했었다. 어떤 취미가 됐건, 하나에 빠지면 자신의 취미에 올인하는 사람은 많으니까...하고 말이다. 그리고 그가 만약 단순한 폐인으로만 머물러 있었다면, 이 책에 대한 관심도 한 번 읽고 마는데 그쳤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서두부터 삶에 지친 남자의 벌거벗은 모습과 ‘여행생활자’로서의 방황, 그리고 가족에 대한 애틋함을 오롯이 풀어낸다. 그는 캠핑을 통해 자연을 찾고, 가족을 찾고, 스스로의 삶에 대한 의미를 찾는가 보다. 


지친 그대여
오늘은 한 마리 작은 새처럼 쉬어라
그대의 영혼에
숲이 강이 바람이 별이 스며들 수 있게
오늘은
오늘 하루만은 그대에게 자연을 허락하라  

-------------------
그러나 캠핑장에서는 다르다. 그런 하찮은 일을 척척 해내는 사내들이 주목을 받는다. 머리가 아닌, 몸을 움직일 줄 아는 사내들의 존재감이 확실히 부각된다....상사 앞에서 쩔쩔매는 샐러리맨이 아니다. 시계추처럼 집과 직장을 오가는 소심한 남자가 아니다. 그는 남자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평정심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세상의 어느 남자가 지금 지고 있는 세상살이의 버거움을 모두 내려놓고 떠나고 싶지 않을 것인가. 또 세상의 어느 아내가 자신을 위해 떠난 여행에서, 이른 아침 곤히 잠든 아내를 위해 커피향과 숲 속의 봄을 준비하는 남편을 그리워하지 않을 것인가. 부러우면 지는 거라지만, 이런 여행이라면 얼마든지 져도 좋다. 물론 그들도 캠핑이 아닌 현실에서는 우리네 일상과 별반 다를 바 없겠지만, 작가의 이런 말만큼은 그저 부럽게만 느껴진다.

누군가 캠핑이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의 대답은 분명하다.‘가족’이다. 이 땅에서 캠핑만큼 가족의 존재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게 있을까. 캠핑만큼 아빠의 자리를 되찾아줄 수 있는게 있을까. 캠핑만큼 아내에 대한 사랑을 표현할 수 있는 게 있을까. 없다. 그래서 캠핑은 가족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