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당신의 손을 놓겠습니다 - '나'를 위한 관계 덜어내기 수업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큰숲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관계 속에서 살다가 관계 속에서 죽는다. 태어나면서는 부모-자식이라는 인연 혹은 관계가 맺어지고, 생을 마칠 때에는 그동안 맺어왔던 이런저런 관계들을 뒤로 하고 죽음이라는 먼 길을 떠난다. 그사이에 자라고,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최초에 맺었던 관계인 부모-자식의 관계 외에도 가족, 친지, 친구, 사제, 상사와 부하, 동료, 부부 등등 수많은 관계를 맺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때로 더없이 든든하고 의지되는 좋은 관계이기도 하고, 때로는 극도의 스트레스를 주거나 없느니만도 못한 최악의 관계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일까. ‘힘들게 하는 것도 사람, 지칠 때 힘이 되어주는 것도 사람임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그만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영원한 숙제인 듯하다.



 이 책은 미움받을 용기를 통해 잘 알려진 작가 기시미 이치로가 관계에 대해 쓴 책이다. 일본 내 아들러 심리학 연구의 일인자이자 철학자인 그는 책 속에서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관계의 여러 형태와 건강한 관계를 위한 여러 가지 조언들을 해주고 있다.


저자는 우리가 맺어왔고, 현재도 맺고 있는 수많은 관계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관계에 대해 본질적으로 살펴볼 것을 권한다. , 모든 관계를 다 유지할 필요는 없으며, 건강하고 합리적이지 못하고 강박적인 관계 등은 과감히 끊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 완전한 이해보다는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더 중요함을 강조하며, 타인의 심리를 이용해 종속시키거나 지나치게 의존하게 만드는 관계가 아닌 자유로운 관계를 맺으라고 역설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어찌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우리는 실생활에서 우호적인 포장 뒤에 가려진 건강하지 못한 관계와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종종 겪기에 당연해 보이는 저자의 이야기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건강한 관계란 타인의 뜻에 의해 흔들리고, 종속되는 관계가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보아주는관계이다. 타인의 기대나 시선, 칭찬 혹은 비난에 얽매여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타인에게 종속시키는 관계는 건강하지 못한 관계이며, 종국에는 자신의 주체적인 삶을 망치는 불행한 관계로 이어질 뿐이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누구가 아닌 내 스스로가 주체적이고 독립적으로 중심을 잡을 필요가 있다. 내가 나 자신의 성향, 성격을 잘 알고, 스스로 올곧게 서있을 때, 타인과의 관계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