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전 시집 : 카페 프란스 - 윤동주가 사랑하고 존경한 시인 전 시집
정지용 지음 / 스타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지용의 시를 처음 읽은 게 정확히 언제였는지는 모르겠다. 마음에 드는 시를 한참씩 필사하고 외우고 했던 중학교 시절인지 혹은 문학작품을 마음껏 접하던 대학교 때였는지. 88년 해금 조치가 있기 전부터 으로 불리던 그의 이름은 알고 있었으니 아마도 그사이 어디쯤이겠다. 처음 읽은 시기는 잘 기억나지 않아도, 지용의 작품 호수를 처음 읽을 때 받았던 신선한 충격은 그 느낌이 여전하다.

 

얼골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눈 감을밖에.

(호수, <시문학> 2, 1930.5.)



몇 줄 안 되는 짧은 시 안에 가득 담긴 큰마음이라니처음에는 시인에 대해서 잘 몰랐음에도 저 시 하나만으로도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던 작품이었다. 그래서 그 이후에도 정지용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작품을 한 번 더 관심을 갖고 읽었던 것 같다.

 

이번에 읽은 책은 <정지용 전 시집>이다. 이 책은 <정지용 시집><백록담>, 그밖에 미수록 작품을 대거 발굴하여 넣었으며, <정지용 시집>에 실리지 않았던 박용철의 발문도 포함되어 있다. 덕분에 호수’, ‘향수처럼 기존에 좋아하던 지용의 시 외에 그의 수많은 작품을 마음껏 음미할 수 있었다.



 

별똥 떠러진 곳/ 마음해 두었다/ 다음날 가보려/ 벼르다 벼르다/인젠 다 자랐오

(별똥, <학조> 1, 1926.6.)

 

부헝이 울든 밤/ 누나의 이야기/ 파랑병을 깨치면/ 금시 파랑 바다/ 빨강병을 깨치면/ 금시 빨강 바다/ 뻐꾸기 울든 날/ 누나 시집 갔네-/ 파랑병을 깨트려/ 하늘 혼자 보고/ 빨강병을 깨트려/ 하늘 혼자 보고.

(, <학조> 1, 1926.6.)

 

화자의 마음과 감성이 오롯이 전해지는 정지용의 시. 그의 작품들이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는 이유가 아닐까. 감성이 메마르고 마음의 여유 없이 다들 팍팍해진 시기. 향수와 정감을 불러일으키는 시 한 편쯤 마음에 품어보면 어떨까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