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씨앗들 - 우리를 매혹시킨 치명적인 식물들
카티아 아스타피에프 지음, 권지현 옮김 / 돌배나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 읽은 동화 중에 인상적인 장면 하나. 여동생 엘리제가 목숨이 경각에 달린 마지막 순간까지도 쐐기풀로 스웨터를 짜서 백조로 변한 오빠들에게 던져주던 장면이다. 나쁜 마녀의 마법에 걸려 백조로 변한 오빠들은 엘리제의 쐐기풀 스웨터 덕분에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쐐기풀 실이 모자라 한쪽 팔이 미완성되는 바람에 막내 오빠의 팔 한쪽은 여전히 백조 날개로 남아있기는 했지만

<백조 왕자>는 당시에 참 재미있게 읽기도 했고, 본 적 없는 쐐기풀에 대한 에피소드가 인상적이어서 오래 기억에 남았다. 그런데 이번에 <나쁜 씨앗들>을 읽고 보니 쐐기풀뿐 아니라 흔히 보는 우엉이며 자작나무까지도 새롭게 보인다.



<나쁜 씨앗들>은 숲속 식물들의 생존방식에 관한 책이다. 동물과 인간이 그러하듯 식물 역시 각자 처한 환경 속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개체를 번식하기 위한 나름의 자구책을 갖고 있다. 저자는 나쁜 씨앗들이라는 역설적인 제목을 붙였지만, ‘나쁘다는 것은 사실 인간의 기준일 뿐이고, 식물의 입장에서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한 방편인 셈이다.

 

책에는 우리에게 눈물짓게(?) 하는 양파와 혀를 얼얼하게 하는 고추를 시작으로 갖가지 치명적인 식물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중에는 닿기만 해도 쓰라림과 화상을 입게 하는 식물들도 있고, 흉측한 물집이 잡히도록 하거나 호흡 곤란을 일으키고 시력까지 잃게 하는 식물도 있다. 치명적 증상이 얼마나 심한지 재채기나 가려움증 같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정도는 차라리 애교로 느껴질 정도다. 꽃이 예뻐 무심코 만져 본 나뭇잎과 풀 줄기, 코코넛, 망고 열매가 지천인 해변에서 호기심에 맛본 나무 열매가 금세 공격자로 돌변해 생명을 위협할 줄을 누가 알았을까?



나쁜 씨앗들중에는 이름이 너무 어렵거나 생소한 식물들도 있지만, 삼나무, 주목, 자작나무처럼 우리가 주변에서 자주 만나는 식물들도 꽤 있다. 자작나무는 겨울이면 하얀 수피가 더욱 돋보여 아름답고 낭만적인 나무로만 여겼는데, 알러지를 유발하기도 한다니 새삼 놀랍다. 양파, 고추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있지만, 반찬이며 차로 만들어서 즐기는 우엉조차도 성가시게 달라붙는 특성 때문에 악녀의 빗이라는 별명을 가진 악동이었다니!

 

우엉은 나름의 방어와 번식 수단으로 달라붙는 성질을 가졌지만, 인간은 우엉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벨크로를 발명해냈다는 점도 재미있었다. 일상에서 유용하게 쓰는 벨크로가 여기저기 잘 달라붙는 우엉의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발명품이라니.... 자연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발명품이 어디 벨크로 뿐일까?

 

나쁜 씨앗으로 여겨지는 식물의 특성도 인간이 아닌 식물의 입장에서 보면 현명한 진화의 결과다. 이동이 제한된 수동적인 환경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자손을 퍼뜨리기 위한 고육지책인 셈이다. 상대를 모를 때는 공포지만, 이런 식물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나면, 조심하고 절제하며 효율적인 방법을 찾게 된다. 상대의 특성을 알고, 공존의 방식을 찾아가는 것. <나쁜 씨앗들>에 대한 관심은 아마도 그런 방법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