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을 견디는 기쁨 - 힘든 시절에 벗에게 보내는 편지
헤르만 헤세 지음, 유혜자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쩌다 보니 헤르만 헤세의 책을 연이어 읽고 있다. <헤르만 헤세의 책이라는 세계>를 한참 읽어가던 중이었는데, 서평단 책으로 <삶을 견디는 기쁨>이 도착해서 두 권의 책을 번갈아 읽었다. 한 작가의 책을 동시에 읽다 보니 그의 세계에 좀 더 깊이 들어가게 되고, 그의 이야기에 더 귀 기울여 듣게 되는 효과가 있었다. 전자는 책에 대한 이야기를 중점으로, 후자는 삶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으로 이어지는데 그러면서도 작가, 예술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들어있어 읽는 내내 많은 생각과 공감을 얻게 되었다.
<삶을 견디는 기쁨>은 헤르만 헤세가 삶을 살아가면서 느낀 여러 단상을 쓴 짧은 글들을 모아놓은 책이다. 1부 ‘영혼이 건네는 목소리’, 2부 ‘조건 없는 행복’, 3부 ‘삶의 진정한 아름다움’으로 구성된 이 책에는 ‘힘든 시절에 벗에게 보내는’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이런 구성이 말해주듯 책은 힘들고 지친 이들에게 위로를 보내는 내용이 많다. 자연 속에서 사는 즐거움도 들어있지만, 외로움, 고독, 자괴감, 슬픔에 빠진 스스로를 달래는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바쁘게 살아가는 세상이다 보니, 무언가를 하고 있지 않으면 스스로가 게으르고 한심한 것 같아 가라앉을 때가 있다. 그 가라앉음이 다시 자책과 자괴감을 불러오고, 그것이 길어지면 자칫 우울감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될 수도 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스스로 만든 덫에 빠지지 말고, 밝은 곳으로 자신을 이끌어야 하는데 그게 생각처럼 쉽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런 이들에게 헤세의 글은 의외의 위로가 되어준다.
예술가들은 가끔이라도 하는 일 없이 시간을 허비하기도 하는 생활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것은 새로 깨달은 것을 정확하게 해석하거나 무의식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숙성시키기 위해서이기도 하고,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자꾸만 다시 자연스러운 것에 가까이 다가가고, 다시 어린이가 되기도 하며, 자신을 땅의 벗이요 형제라고 생각하며, 식물과 바위와 구름을 느껴 보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p.31)

헤세는 ‘예술가’라고 표현했지만, 예술가란 꼭 예술 작품을 만들고 예술적 행위를 하는 특정층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니다. 헤세는 예술가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내가 예술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란 삶을 살아가면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는 사람들, 자기가 쓰는 힘의 근원을 알고 그 위에 자신만의 고유한 법칙을 쌓아 올리는 것을 꼭 해야 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을 말한다. (중략) 확실하고 의미 깊은 관계의 기본 원칙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저급한 행동이나 표현을 삼가는 사람들이다. (p.31)
자신의 삶에 대해 고민하고 고뇌하는 이들 중 예술가 아닌 사람이 어디 있을까. 자기 고백적인 헤세의 글은 삶에 충실하고자 하는 ‘삶의 예술가’즉, 우리들의 외로운 마음을 다독이고 어루만져준다. 외롭고 힘든 것이 나뿐만은 아니라는 위로와 공감이 필요한 이들에게 권해주고픈 책이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