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두(話頭) ㅣ 아이온총서 1
박인성 지음 / 경진출판 / 2022년 7월
평점 :
불교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화두(話頭)’라는 말은 많이 들어보았을 듯하다. 달마대사로부터 비롯된 중국 선종은 우리나라에도 전파되어 큰 영향을 끼쳤는데, 참선을 중시하는 선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이 화두다. 화두는 ‘참선하는 수행자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참구(參究)하는 말이나 문제’를 뜻하는 불교 용어다. 수행자는 선지식이 제시한 화두를 들고, 망상과 경계를 벗어나 화두를 깨우치기 위해 온 마음을 다한다.
화두는 말이나 문장으로 표현되기는 하지만, 그 참뜻은 일반적인 상식에서 벗어난 질문을 통해 진리를 깨닫는 데 있다. 전할 수 있는 수단이 말과 글 뿐이기에 말과 글로써 전하기는 하지만, 부처나 선지식이 뜻하는 바는 말 그 너머에 있다. 화두는 공안(公安)이라고도 하며, 옛 조사들로부터 이어진 공안은 현재 1,700 공안이 전해지고 있다. 일반에게도 많이 알려진 이뭣고(是甚麽), 뜰 앞의 잣나무, 평상심이 도(平常心是道) 등도 1,700 공안 중의 하나다.

이 책은 동국대 불교대학 명예교수인 저자가 옛 조사들의 주요 화두를 해설해놓은 책이다. 이 책은 마조선사의 화두 7칙, 남전선사의 화두 10칙, 조주선사의 화두 82칙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조주선사의 무(無)자 화두나 남전선사의 참묘(斬猫) 화두처럼 많이 알려진 화두와 그밖의 주요 화두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풀이하고 있다.
이 책에서 독특한 점은 동양 철학인 화두에 서양 철학인 들뢰즈의 사상을 접목하여 풀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근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어떤 면에서는 통하는 부분이 있어 사고와 이해의 폭을 넓혀 다시 생각하게끔 해준다.
저자는 후설의 현상학과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의미의 논리>를 토대로 ‘역설’과 ‘화두’를 연관지어 이야기한다. 하지만 들뢰즈의 철학도, 화두도 쉬운 내용은 아니기에 책을 한 번에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화두는 ‘끽다(喫茶)- 차를 마시게나’, ‘원상(圓相)-들어가도 때리고, 들어가지 않아도 때리겠다’에서처럼 유무(有無)나 어느 양 극단이 아닌 한 차원 높은 개념이다. 저자는 이러한 화두를 들뢰즈의 역설적 심급X와 연결지어 설명하고 있는데, 사실 쉽게 이해되는 개념은 아니어서 차근차근 읽어봐야 할 듯하다.
------------------------------
* 책은 출판사에서 제공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