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 장군, 상인, 지식인
미할 비란.요나탄 브락.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엮음, 이재황 옮김, 이주엽 감수 / 책과함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실크로드와 둔황전시를 관람한 적이 있다. 이 전시에서는 혜초스님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이 국내 최초이자 세계 최초로 공개되어 더욱 인상 깊었다. <왕오천축국전>은 신라 승려였던 혜초스님이 당나라를 거쳐 인도를 순례하고 쓴 여행기다. 전시에서는 이와 더불어 모래바람을 피할 수 있는 사막 안경, 둔황 막고굴의 불상, 청동 마차 등 색다른 유물들이 함께 전시되었다.

 


실크로드는 고대 동서 문명이 교류하는 유라시아 대륙의 중심 교역로였다. 이 길을 통해 아시아와 유럽은 칠기와 비단, 도자기와 향신료, 유리 만드는 기술뿐 아니라 학술과 종교 등 다양한 교류를 이어갔다. 동서간의 교역로는 그 이전에도 있었지만, 몽골이 거대 제국으로 번성하던 시기에는 교역이 더욱 활발해졌다. 몽골제국은 동서로 동아시아-유럽-이슬람 세계를 아우르고, 남북으로는 동남아시아에서 시베리아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고, 그 영토를 관통하는 실크로드는 무역과 네트워크의 거대한 장이 되었다.

 

<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에는 이러한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이들의 활약상이 잘 드러나 있다. 이제껏 실크로드라고 하면 대개 표면적인 시각에서 보아왔는데, 이 책은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좀 더 심층적인 눈으로 보게 해준다. 책은 상인, 장군, 지식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삶을 통해 실크로드의 정치 경제적 발전, 사회 문화적 교류에 대해 다각도로 보여준다. 말하자면 실크로드의 인물 열전인 셈이다.

 


몽골이라고 하면 칭기스칸이나 쿠빌라이칸 정도만 알던 터라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은 대부분 생소하다. 이들이 주로 활동하던 시기는 13~14세기로 몽골이 유라시아 대륙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광범위한 교류를 이어가던 시기다. 책에 등장하는 15인은 계층으로는 장군(6), 상인(4), 지식인(5)이었으며, 출신은 한인, 몽골인, 이란인, 유대인, 킵차크인으로 다양했다. 그만큼 다양한 인적, 물적 교류가 번성했다는 얘기다.

 

뜻밖이었던 것은 쿠툴룬, 타이둘라 같은 여성의 활약이었다. 공주였던 쿠툴룬은 뛰어난 전사이자 장군이었으며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에 영감을 준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타이둘라는 우즈벡칸의 황후로서 남편과 함께 통치하며 기독교 국가들의 찬조와 후원을 이용해 무역과 외교적 이익을 꾀한 인물이다. ‘색목인(色目人)’이었던 킵차크 출신의 툭투카나 이슬람 상인인 동시에 칭기스칸의 장군, 스파이로도 활동한 자파르 화자의 이야기도 여러 시사점을 준다.


 

이 책은 저자들 12인의 공동 작업으로 쓰여진 책이다. 중동학, 아시아학, 역사학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들은 중국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라틴어 등 다양한 언어로 쓰인 사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이 책을 집필하였다. 그들은 몽골 즉 원() 왕조의 정사인 <원사(元史)>나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이븐 바투타의 여행기 등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15인의 일대기를 추려내었다. 책은 열전처럼 각 인물별로 구분되어 있어서 따로 읽어도 좋고, 함께 읽어도 좋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몽골제국의 인물들을 통해 실크로드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

*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