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심리코드
황상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이따금 외면하고 싶은 한국인의 모습과 마주할 때면 자신은 다르다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어찌됐든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한 사람이고 같은 한국인들과 공통의 문화를 형성해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인으로서의 자기 성찰이 필요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현실과 사회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어야 냉정한 자기 인식이 가능하다.


  저자는 10년의 연구 끝에 한국 사회의 특징으로 대표할 수 있는 아홉 가지 키워드를 제시한다. 그리고 그 틀 안에서 한국인의 성향을 분석한다. 기회주의부터 집단주의까지 한국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 읽다 보면 그 이중적인 모습에 놀라게 된다.


  비록 마주한 것이 속물 같을지라도, 자기의 모습이기에 함께 생각하며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

 

한국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 대부분은 사회인식 불능증에 가까운 상황에 처해 있다. 모두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 한다. 서로의 차이나 각기 다른 특성들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려고 하지 않는다. 대세가 무엇인지 알려 하고 그것을 좇아가기 바쁘다. 그렇다 보니, 각자 다르게 직면하는 구체적인 삶의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문제 해결 능력은 거의 재앙 수준이다.

냉정하게 자기를 직시하는 것만이 잘 살고, 잘 살아남을 수 있는 비법이다.

통념과 상식이 통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삶의 위기와 불안을 느끼고, 현재 무엇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없게 된다.

누구나 자신이 무엇을 믿고 있는지 분명하게 인지하면 자신의 선택에 비교적 확신을 가질 수 있다.

한 사람의 심리적 갈등이나 고민의 핵심이자 그의 삶을 이끄는 것은 바로 ‘나는 누구인가’를 아는 것, 즉 그 사람의 정체성이다. 여기서 내가 누구인지를 안다는 것은 내가 가진 믿음의 실체를 안다는 것이다.

방향의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자기 인식과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외부에서 정답을 찾으려는 노력은 자기 변화를 불러일으키지 못한다.

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지나친 고집이나 배타성 또는 사고나 행동에서의 유연성이나 개방성 부족으로 잘 나타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