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임팩트 맨 - 뉴욕 한복판에서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살아남기 1년 프로젝트
콜린 베번 지음, 이은선 옮김 / 북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살 순 없을까? 여기 환경과는 전혀 상관 없던 한 남자의 도전 이야기가 있다. 저자는 직접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스스로 1년간 ‘노 임팩트 맨‘이 되었다. 노 임팩트 맨은 환경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사람이다.


  먼저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일회용품을 끊는다. 지속 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하고자 지역에서 재배된 채소만 먹고 해본 적도 없는 요리는 일상이 된다. 대중교통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니 당연히 자전거를 탔고, 심지어 집에서 전기까지 끊었다.


  저자의 실천중심의 환경운동은 블로그로 생중계되었다. 세계 각지의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자극을 받았다. 그는 사람들을 혼내지 않고 스스로 시행착오를 겪으며 행동으로 보여줬다.
한국에도 노 임팩트 맨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참고: 아래 밑줄긋기에 첨부한 내용은 저자가 '노 임팩트 맨'으로 살기 전의 이야기다.

 

미셸, 당신에게, 내 가장 깊은 사랑과
언제까지나 벽에 글을 썼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서

아내와 어린 딸과 나는 1년 동안 뉴욕 시 한복판에서 살며 환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활을 시도해보았다. 이것은 결국 쓰레기를 만들지 않고(따라서 테이크아웃 음식은 이용할 수 없었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따라서 자동차나 비행기를 이용할 수 없었다), 유독성화학물질을 하수구로 흘려보내지 않고(따라서 세탁세제를 쓸 수 없었다), 먼 지역의 농산물을 구입하지 않도록(따라서 뉴질랜드 산 과일은 먹을 수 없었다) 최선을 다했다는 뜻이다. 두말할 필요 없겠지만 엘리베이터, 지하철, 포장된 제품, 플라스틱, 에어컨, 텔레비전, 새 물건 구입도 당연히 금지사항이었다.

먼저 배경 설명 : 미셸은 아빠의 아멕스 골드 카드, 택시회사와의 외상 거래, 큼지막한 보트, 컨트리클럽 세 군데, 국기에 대한 맹세 속에서 자랐다. 반면에 나는 어깨까지 머리를 기르고, 명품을 한심하게 여기고, 징병을 기피하고 LSD를 할 수 있을 만큼 나이가 들기를 바라고, 대안학교에 다니고, 돈에 쪼들리고, 고래를 살리고, 물질만능주의라면 질색이니 부자로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며 자랐다.

공짜인 데다 여우는 이미 죽었다는 게 미셸의 주장이었다.
여우가 한 마리도 아니고 열 마리가 들어갔다는 게 내 주장이었다.

나는 남의 잘못을 꾸짖으면 내가 고결해진다고 착각하고 있었다. 생각해보니 나는 정치적인 의사를 표시하거나 생활방식을 양보하는 일은 거의 없이 슬그머니 지나가면서도, 그 정도도 안 하는 것처럼 보이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우쭐거리는 데 남은 에너지를 쏟아붓는, 그런 진보주의자가 되어 있었다.

우리는 너무 열심히 일을 하느라 사랑하는 사람들과 보낼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로워진다.

"그런 책이라니 좌절인데요. 따분하겠어요. 선생님 말씀이 틀렸다는 게 아니라, 독자들이 24달러 95센트를 내고 자기가 얼마나 헛살았는지 깨우쳐주는 책을 살거라고 제가 무슨 수로 출판사를 설득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만의 하나, 자기가 얼마나 헛살았는지 듣고 싶어하는 독자가 있더라도 이쪽 방면에는 경력이 전혀 없는 역사책 서술가인 선생님을 찾을 이유가 없지 않겠습니까? 차라리 소설을 쓰는 건 어떠세요?"

나는 스스로 진화하고 있을까, 아니면 저 잘난 맛에 살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