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옛길
삐야닷시 테라 지음, 유미경 옮김 / 달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니 종교가 있었다. 기독교였다. 부모님은 모태 신앙을 강조하시며 교회에 데려 가셨다. 그래서인지 교회에 가기 싫었다. 그러다 도서관에서 붓다를 만났다. 신세계였다.

 

  책 속의 붓다는 주체성을 강조했다. 제자도 아무나 받아들이지 않았다. 다시 한번 생각해보라신다. 선도가 당연했던 기독교인에게 주체성은 충격이었다. 붓다는 ‘깨달음과 해탈이 전적으로 인간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고 했다. 심지어 ‘자신의 문제를 영원한 존재, 구세주, 신에게 떠맡기지 말라’고 까지 했다. 통쾌했다. 그동안 기독교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의문들이 불교에선 명쾌하게 해결됐다.

 

  불교는 마음의 자유를 가져다 주는 정신적이면서 지적인 수행 방법이었다. 행복과 평온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얻을 수 있단 말에 무릎을 쳤다.


 

"자기가 실로 자기의 주인이다. 다른 누가 주인이 될 수 있겠는가?"

붓다께서는 결코 자신이 신의 계시에 의해서 영혼들을 구제하는 구세주라고 주장하지 않으셨다. 자신의 인내심과 깨달음을 통해 그는 인간 속에 잠재해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증명하셨고, 사람들은 그 가능성을 계발하고 펼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셨다. 그는 깨달음과해탈이 전적으로 인간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는 것을 자신의 체험을 통해 증명하셨다.

"각 개인은 각자의 해탈에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

붓다께서는 자신의 문제를 영원한 존재, 구세주, 신이나 범천에게 떠맡기지 말라고 하셨다. 그리고 판단력과 탐구심을 가지고 자신의 내적인 힘과 자질을 계발하는 진실한 일에 몰두하라고 하셨다.

붓다께서는 다른 사람의 사상의 자유를 결코 방해하지 않으셨다. 사상의 자유는 모든 사람의 타고난 권리이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그의 외모, 성격, 정신적인 성향과 어울리는 생활방식을 다른 식으로 바꾸라고 강요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