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쟈님의 서재에서 

   어제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의 강의 '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여행: 프랑스 현대철학편'이 마무리됐다. 이름이 길지만 그냥 간단히 '로쟈와 함께 읽는 구조주의'였다. 한겨레의 강의는 7월을 건너뛰고 8월에 5주간 다시 진행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도스토예프스키 커넥션'을 주제로 잡았다. 작년 여름의 '도스토예프스키 깊이 읽기'를 염두에 둔 강의다. 공식적으론 '로쟈의 러시아 문학 여행: 도스토예프스키 커넥션'이다(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7&tolclass=&searchword=&subj=F90788&gryear=2011&subjseq=0001). 오늘 커리큘럼이 공지된 김에 좀 일찍 포스팅을 해놓는다. 강의시간은 8월 한달간 매주 화요일 저녁 19:30-21:30이다. 담당 큐레이터의 소개는 이렇다. 

로쟈 이현우 박사는 "톨스토이와 함께 국내 독자들에게도 가장 널리 알려진 작가이지만, 그의 방대한 작품 세계에 엄두를 내지 못하는 독자들이 의외로 많다"고 했다. 이번 강의에서 러시아 문학, 그 중에서도 도스토예프스키를 다루게 된 이유인 셈이다.
이 강좌는 특히 도스토예프스키와 관련있는 작가들의 작품을 비교해 가며 함께 읽는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알베르 카뮈, 미시마 유키오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영향을 받은 한국문학까지 두루두루 살피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알베르 카뮈의 <전락>을 함께 펼쳐놓고 두 작품간의 연관성을 살피게 된다. 한 전기작가의 말을 빌면, 두 작품은 모두 '(가장) 비참한, 그러나 낄낄거리며 조소하는 자포자기로 끝나는 유일한 소설'이라고 한다. 

1. 8월 2일_ 도스토예프스키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도스토예프스키 <분신> vs 나보코프 <절망> 



2. 8월 9일_ 도스토예프스키와 알베르 카뮈(1)
도스토예프스키 <지하로부터의 수기> vs 카뮈 <전락> 



3. 8월 16일_ 도스토예프스키와 알베르 카뮈(2)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vs 카뮈 <페스트>  



4. 8월 23일_ 도스토예프스키와 미시마 유키오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vs 미시마 유키오 <가면의 고백> 



5. 8월 30일_ 도스토예프스키와 한국문학   

11. 06. 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온라인 강의와 함께 구조주의를 공부한 적이 있다. 레비스트로스도 몇 권 읽었으나 소화하지 못했다. 로쟈의 서재에서 다음을 접했는데 아래의 책들을  충실히 읽으면 어느 정도 구조주의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저러 도움을 많이 받는 서재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에서 이달 16일부터 5주간(현충일 제외) '로쟈와 함께하는 인문학여행: 프랑스 현대철학편'을 진행한다(http://www.hanter21.co.kr/jsp/huser2/educulture/educulture_view.jsp?&category=academyGate7&tolclass=0000&subj=F90711&gryear=2011&subjseq=0001&booking=). 

 

주제가 '프랑스현대철학편'이라고 나가긴 했지만, 구체적으론 '구조주의'를 다루며 우치다 타츠루의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갈라파고스, 2010)가 부교재이다. 그 책의 부제가 '교양인을 위한 구조주의 강의'이고, 강의 또한 그 수준에 맞출 예정이다. 책의 순서에 따라 푸코와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을 입문 수준에서 차례로 소개하게 되며 첫 시간은 구조주의의 창시자 소쉬르에 대해서 다룰 예정이다. 구조주의나 현대철학에 '이제 막' 관심을 갖게 된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강의면 좋겠다. 일정과 함께 참고할 만한 (만화)책들을 골라놓는다.

1. 5월 16일_ 소쉬르와 구조주의 



2. 5월 23일_ 푸코와 계보학적 사고 



3. 5월 30일_ 롤랑 바르트와 '저자의 죽음' 




4. 6월 13일_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인류학 



5. 6월 20일_ 라캉과 정신분석 

 

11. 05. 05.  



P.S. 강의에 참고하기 위해 소집해놓은 책들은 프랑수와 도스의 <구조주의의 역사1-4>(동문선)과 스튜어트 휴즈의 서구지성사 3부작 중 <막다른 길>(개마고원, 2007), 그리고 테렌스 호옥스의 <구조주의와 기호학>(신아사) 등이다.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개관을 제시해주는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