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본 임진왜란 - 근세 일본의 베스트셀러와 전쟁의 기억
김시덕 지음 / 학고재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임진왜란이 여몽 연합군의 일본 침략에 ‘복수‘하는 전쟁이며, 가토 기요마사가 조선인들도 섬기는 자비로운 ‘도깨비 장군‘이었다는 에도 시대 일본인들의 인식은 당혹스럽다. 하지만 당혹스러워서 그들이 그렇게 여기는 까닭을 살펴보지 않는다면, 우리는 임진왜란의 비극을 또다시 겪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백여 년 사이에 일본인들이 임진왜란, 한반도, 그리고 자국 일본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극명히 보여주는 이들 이야기는, 그 자체로 하나의 사실(事實)이다. 그러나 이들 이야기들을 이 책에서와 같이 하나의 흐름으로 엮어내고 임진왜란에 참전한 한·중·일 삼국의 관점을 대입하려는 시도는 이제까지 없었다. 역사학에서는 사료에 근거하여 임진왜란의 사실(史實)을 추구하다보니, 일본인들이 쓰고 그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이들 이야기는 사료 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도외시되었다.

한편 제2차 세계대전의 패배 이후 ‘평화 일본‘의 기치를 내건 현대 일본 사회에서는 임진왜란이라는 침략 전쟁을 담은 이들 이야기에 대해 자기 검열, 또는 무의식적 편견이 작용했다. 그 결과 임진왜란이 진행되던 당시부터 19세기 말에 이르는 3백여 년간 인구에 회자되어 온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는 적어도 일본 사회의 표면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이들 이야기는 결코 소멸되지 않고, 일본 우익들의 발언이나 중세 전국시대의 유행 속에서 마치 발작처럼 불쑥불쑥 되살아나고는 한다. 이들 이야기는 일본인 자신들도 잊은, 또는 똑바로 쳐다보고 싶어 하지 않는 일본의 또 다른 면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인의 눈으로 근세 일본인들이 향유한 임진왜란 이야기를 살펴보는 일은 필수적이다. 임진왜란에서 오늘날에 이르는 일본 사회를 바라볼 중요한 도구를 손에 쥘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렇듯 임진왜란이 동북아시아를 포괄한 국제전인 이상, 한국·중국·일본·유럽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임진왜란이 기록으로 남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전장이 되었던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기록뿐 아니라 한반도에 군대를 파견한 국가들에서 만들어진 기록까지 살펴보아야 ‘임진년에 일어난 7년간 계속된 국제 전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제까지 한국 사회에서 임진왜란을 이해하는 방식은 한쪽에 치우치거나 협소했던 것이 사실이다. 한국의 문헌만이 ‘진실‘을 전하고 있고 중국·일본의 문헌은 역사를 왜곡하고 있기 때문에 살펴볼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필자는 여러 차례 접한 바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임진왜란에 대해 이야기되는 내용들의 상당수는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와 같은 근현대 일본 역사학자들이 한·중·일 3국의 기록을 연구한 결과물이다. 그리고 이들 학자들의 지적 배경에는 근세 일본의 방대한 임진왜란 관련 문헌과 담론이 존재한다. 광복 이후, 적어도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 측 상황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자들이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당시 일본 측 상황에 대해서는 여전히 일본 학자들의 연구에 의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강렬한 민족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 사회는 근현대의 일본 학자들이 만들어낸 임진왜란상을 직·간접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면서도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려 하지 않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이상훈 지음 / 푸른역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임을 보여 준 ‘병영 국가‘ 신라의 생존 비결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라는 전쟁 상대국에 고개를 숙이며 굴욕적인 사죄를 했다. 당군의 공세가 높아지면 조공하면서 당 조정을 달랬다. 그 사이 전열을 가다듬고 다음 전투를 준비했다. 군사적 공격과 외교적 유화를 적절하게 구사했던 것이다. 신라는 최강대국 당과 홀로 싸워야만 했다. 명분이나 굴욕 따위는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신라는 오직 살아남는 것에만 열중했고, 결국 살아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