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시야를 넓혀서 생각하면 한제국이 성립된 후의 중국은 일정한 방식 아래 주변 여러 국가와 정치적 관계를 맺고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세계‘를 형성했다. 이 세계를 동아시아 세계라고 부르는데, 지구상이 일체화되는, 즉 근대세계가 성립하기까지 지구상의 각지에 존재했던 여러 세계, 예를 들면 지중해 세계라든가 이슬람 세계라든가 유럽 세계 혹은 남아시아 세계와 나란히 하나의 세계였다.
이 동아시아 세계의 중심은 중국이며 그 특징은 한자문화권이라고도 부르듯이 중국문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 세계가 중국문화권으로서 성립하기 위해서는 이 세계에 들어갈 주변 국가와 중국과의 사이에 일정한 형식을 가진 정치적 관계가 필요했다.
예를 들어 한자의 전파라는 것을 생각해 보자. 본래 한자란 중국말을 표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로, 글자 하나 하나는 중국어로서의 음과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중국과 언어가 다른 한반도나 일본에는 전파되기 어려운 문자였다. 그럼에도 한반도나 일본에 한자가 전파된 것은 당초에는 한국어나 일본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로서 채용된 것이 아니라 중국어 그 자체를 문자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될 사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사정이란 당시의 상태에서 생각해 볼 때, 교역이라든가 중국문화의 이입 때문이 아니라 중국과의 사이에 발생한 정치적 관계를 처리하기 위한 도구로서 한자를 습득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즉 한자로 된 외교문서를 해독하고 작성하는 일이 급했던 것이다. 한국 고대의 이두라든가 일본의 만요가나(萬葉仮名)와 같이 한자를 이용하여 그 민족의 언어를 표기한 것은 그 다음 단계에 일어난 일이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세계라는 역사적 세계가 어떻게 형성되는가 하는 문제는 우선 중국과 주변국가 사이에 발생한 정치적 관계의 성립에서 생각해야 한다. 그러한 정치적 관계의 성립은 바로 전한 초기의 대외관계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대외관계는 일정한 형식을 동반하는 것으로, 여기서도 역시 그 형식의 실제와 성격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