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책소개>

"읽는 사람을 무아지경에 빠뜨리는, 정교하면서도 매우 재미있는 소설이다. 무조건 읽어볼 것을 권한다. - 로저 젤라즈니"

<비잔티움의 첩자>는 비잔틴사를 전공하고 대학에서 역사학을 가르치는 역사학자이자 '대체역사소설의 거장'이라 불리는 해리 터틀도브의 최고 출세작이자 대표작이다. 아이작 아시모프가 추천사에 언급한 것처럼, 대체역사소설을 이야기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빼어난 작품이다.

작가는 독자를 14세기 동로마제국으로 안내한다. 동로마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과 제국 변방 곳곳의 뒷골목, 흥미진진한 역사여행이 펼쳐진다.

세계력 6800년(서기 1291년), 로마 제국은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며 서유럽 제국 및 근동의 패자 페르시아와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리고 그 최전선에서는 제국의 안위를 지키는 정예 수사관이자 비밀 첩보원인 마지스트리아노스들이 암약하고 있었다.

세계력 6814년(서기 1305년): 로마 제국의 척후 장교 바실 아르길로스는 다뉴브 강변의 국경지대를 침략한 유목민 부족과 대치하고 있다. 로마군 주력과 유목민들이 초원에서 치열한 전투에 돌입했을 때, 아르길로스는 유목민의 샤먼이 기묘한 모양의 장치를 써서 로마군의 움직임을 완벽하게 예측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경악한다. 적이 멀리까지 흉안(凶眼)을 투사하는 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소문에 로마군은 크게 동요하는데...
 
 
사실 대체역사소설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다. 내가 세계사에 대해 무지한 고로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립 딕의 <높은 성의 사나이>도 별로였다. 심지어는 그의 동양을 보는 무지한 시각에 분노하면서 책을 읽었다. 그 역사가 우리의 역사라면 흥미는 배가된다. 그래서 <비명을 찾아서>를 단숨에 읽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그 작가는 요즘 이상하게 변하고 말았으니....영어 공용화인지 뭔지.....
그래도 궁금하긴 무지 궁금하여 안 읽을 수는 없다. 로마 제국과 페르시아라......이 세계의 지도는 저기서 어떻게 바뀌어 있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