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록 500년 리더십 - 성공하는 리더의 인사이트!
이동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3년 7월
평점 :
+
세계 역사 속 유례없는 위대한 기록물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 왕들의 업적 및 삶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추론이 아닌 '실제 역사적 사실'로 들여다볼 수 있다.
승자의 편파적 기록이 아닌 사관에 의한
비교적 객관적인 시선으로 기록된 조선왕조실록.
덕분에 우리가 직접 겪어보지 못한 조선시대 상황을
돋보기로 들여다보듯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 500년 리더십>은 바로 이 위대한 기록물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조선 제1대 왕 태조부터 제27대 순종까지
역대 '왕들의 리더십'을 중점으로 풀어 놓은 인문서적이다.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로 어느 곳을 가든, 어느 곳에 있든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 소속되어 있다.
크게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한 사람인 국민으로서
회사나 여러 단체와 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작게는 가족이라는 공동체의 한 사람으로서 말이다.
때문에 나라, 조직 및 공동체를 이루는 (크든 작든) 집단 안에서
리더의 역량과 역할은 굉장히 중요하다.
어떤 리더가 되느냐, 혹은 어떤 리더를 만나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도
조직의 운명도, 공동체의 운명도 달라진다.
더불어 그 속에 속해 있는 '나'라는 개인의 운명도 말이다.
그만큼 리더의 '리더십은 굉장히 중요'하다.
자신뿐 아니라 자신을 믿고 따르는 수많은 사람들의 현재와 미래, 삶이
리더십에 달려있으니까 말이다.
조선시대에도 어떤 왕이 어떤 리더십을 펼쳤느냐에 따라
백성들의 삶이 평안해지기도, 피폐해지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연산군', '선조', 그리고 '정조' 이후의 왕들하면
폭정, 전쟁, 백성들의 처참한 삶 등 온갖 부정적인 단어들만 잔뜩 생각이 난다.
왕의 개인사는 차치하더라도 결과적으로 봤을 때
그들의 리더십은 성공적인 리더십이었다고
말하기는 솔직히 어려울 것 같다. 이렇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조선시대 역대 왕들의 역사를 바탕으로 묵직하면서도
재미있게 풀어낸 그들의 리더십!
<조선왕조실록 500년 리더십>

최근 최태성 선생님의 <역사의 쓸모>라는 책을 읽었다.
역사란 지나간 과거의 이야기가 아닌
현재 그리고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다...라는 판에 박힌 말을
정말 제대로 이해하고 알게 된 책이기도 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필요한 것은 현재 진행형인 인물이 아닌
과거 역사 속 검증된 인물들의 이야기이다.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름 ex : 혜x 스님 등등)
역사 속 '잘' 살아낸 인물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세부적으로는
다를지 몰라도 그 궤적은 같다.
자기만의 중심을 가지고 있고, 어떤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길을 걸어 나갔던 사람들
조선시대 역대 왕들 중에도 본받을 만한 리더십으로
나라와 백성을 평안케 한 인물도 있고
반대로 나라와 백성을 구렁텅이로 내몬 왕도 있다.
잘한 왕 잘한 대로 내 삶에, 조직의 행태에 적용하면 되는 것이고
잘 하지 못한 왕은 타산지석으로 삼으면 될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500년 리더십>은 8가지 유형으로 리더십을 나누었다.
첫째, 위민의 리더 / 둘째, 결과 중심의 리더 / 셋째, 가치 공유의 리더 /
넷째, 군림형 리더 / 다섯째, 무기력한 리더 / 여섯째, 자유방임형 리더 /
일곱째, 근시안적 리더 / 여덟째, 혁신의 리더까지다.
내가 속해 있는 조직 혹은 공동체의 리더는
어떤 유형의 리더십을 펼치고 있는지
혹은 내가 리더라면 나는 어떤 유형의 리더인지
점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은 잘 하고 있다 생각해도 조선시대 왕들의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 결과를 통해
각각의 끝은 어땠는 확인할 수 있으니 앞으로 우리 조직,
나의 공동체의 미래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래서 역사는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라 했던가...!
역사는 단순히 지나가버린 시간이 아니다.
과거 인물들과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앞으로 더 나은 나, 더 나은 조직, 더 나은 공동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자, 지침이자, 안내서이자, 길이기도 하다.
더 나은 곳을 향할 수 있는
학창 시절에는 역사가 시험공부를 위한 과목이었기 때문에
그저 의미 없이 달달 외웠었는데, 이제 시험이라는 제도를 벗어난 나이가 된
지금은 편안하게 역사를 접할 수 있어
최근 재미있게 역사 관련 책들을 읽고 있다.
예전에는 '고려 시대 왕들을 심리학적'으로 살펴본 책을 읽었었는데,
이번 책은 '조선시대 왕들의 리더십'을 살펴 본 책을 읽었다.
뭔가 뿌듯 :)
편안하게 역사를 역사라는 재미있는 하나의 이야기로
접하는 것도 좋고 의미 있지만 가끔은 이렇게 뭔가 하나의 큰 주제로
역사를 접근하는 것도 재미있고
의미 있는 것 같다.
심리학적, 리더십, 사회문화, 정치외교 및 전쟁, 연애사 등등
다양한 접근법으로 말이다.
더불어 이 책은 삼성, SK, 현대, LG, 한전, 공항공사, 철도공사 등
우리나라 굵직한 대기업 및 공기업 e-러닝 최고 인기 강의가
책으로 출간된 것이라 하니
위 관심 기업에 문을 두드릴 청년이라면
미리 읽어보면 더 도움이 될 책이라 생각한다.
:)
.
.
.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