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Z세대가 쓴 MZ세대 사용설명서 - 세대 간 협력과 소통을 위한 MZ 키워드33
김효정 지음 / 넥서스BIZ / 2022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0/pimg_7918442383491431.jpg)
"MZ세대는 일종의 '해체주의자'다. '당연하다'고 생각해온 모든 것에 의문을 표현한다. (p284)"
하루는 지인에게 우리가 MZ세대라고 하니까 아니라고 딱 잡아 말하더군요. 지인은 중고등학생을 MZ세대라고 생각하는 거 같아서 개념부터 설명해줬어요. 저도 MZ에 대해 100% 다 이해한 건 아니기에 <MZ세대가쓴MZ세대사용설명서>를 보며 모순적이고 복합적인 MZ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0/pimg_7918442383491433.jpg)
"<무한도전>으로 시작된 콘텐츠의 변화에 주목했다. 종영된 지 한참 지난 이 프로그램에서 MZ세대가 즐기는, 만들어낸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p48)"
무한도전 기억하세요? 전 학교 끝나면 이거 보는 재미로 살았는데, 요즘도 식사할 때 틀어 놓고 웃으면서 밥을 먹곤 해요. 광범위한 MZ세대를 묶어주는 것이 대중문화 경험입니다. TV 프로그램 중에서는 < 무한도전 >이 MZ세대특징이죠. 또 다른 키워드는 mbti 인데, 전 이걸 대학 다닐 때부터 종종 검사했어요.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720/pimg_7918442383491436.jpg)
"이 책에서는 MZ세대의 정의를 2002년 기준 20~30대, 즉 1980년 대 중반 이후 출생자부터 2000년 출생자까지로 한정 지었습니다. (p8)"
<MZ세대가 쓴 MZ세대 사용설명서>은 MZ세대를 이해하기 힘든 기성세대를 위한 사용 설명서와도 같아요. 꼰대탈출에도 도움이 되겠죠? 저도 MZ세대긴 하지만 감이 안 잡히는 부분이 있어서 책을 통해 관찰했어요. 세대 갈등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요즘 시대에 필독서 중 하나가 아닐까요? MZ키워드를 단순히 출생 연도가 아닌 문화적, 사회적으로 잘 설명한 부분이 큰 장점이었어요.
소셜 속에서 나이에 상관 없이 소통하는 시대가 되었어요. 다른 세대끼리 소통하기 위해서 한 번쯤 읽어보면 도움이 되겠더라구요. 혹은 같은 MZ지만 MZ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도서였어요. 부모님께도 추천해드려야 겠어요.
책을 제공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세계관 콘텐츠‘의 세계관 속에서 팬은 단순히 콘텐츠를 소비하기만 하지 않는다. 콘텐츠에 참여하여 직접 창작물을 만들기도 하고, 이야기를 공유하고 확산시키며, 홍보한다. - P61
지난 2018년 서울대 행복연구센터가 조사한 바를 보면 삶의 만족도, 불안 정도를 종합해 만들어낸 ‘안녕 지수‘가 20~30대에게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67
MZ세대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는 오프라인 대체제가 아니라, 또 다른 삶의 영역이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 현실 세계를 인식하는 MZ세대도 적지 않아, 온라인에서의 갈등 양상과 문제 인식 등이 오프라인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 P160
내심으로 강력한 거리 두기를 하더라도 이를 드러내지 않는다. 갑작스럽게 시작하는 맥락 없는 소통, 표면적인 이해 같은 것은 MZ세대가 기성세대에 가장 경계하는 것 중 하나다. 다만 보이지 않을 뿐 MZ세대는 기성세대에 깊은 거리감을 지니고 있다. - P129
자율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받지만 실제로 자립하기는 어려운 현실, 신념과 세계관을 갖출 것을 요구 받지만 막상 펼쳐낼 곳이 없는 현실은 MZ세대가 늘 겪는 일이다. - P198
근면하게 살면 현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은 MZ세대를 다양한 방식으로 갓생을 이끌었다. - P246
더욱이 아이가 없더라도 결혼이 곧 행복과 연결되는지에도 의구심을 품는 MZ세대가 많다. - P2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