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삼킨 소녀 스토리콜렉터 28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전은경 옮김 / 북로드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넬레 노이하우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그리고 타우누스 시리즈! 이제 이들의 이름은 서로 다르지만 다르지 않은 하나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처음 이 타우누스 시리즈들의 독특한 제목에 시선이 머물렀다면, 다시금 그들의 하나같이 독특하고 매력적인 표지에 시선을 빼앗긴다. 그리고 넬레 노이하우스라는 이 독일 여성 작가의 매력에 빠져들지 않을 도리가 없을 것이다. 그렇게 벌써 타우누스 시리즈와 넬레 노이하우스와 함께 아직도 그렇게 자주 만날 수 없는 유럽 미스터리 소설의 재미를 만끽한다. 하지만 이번엔 다르다.

 

<여름을 삼킨 소녀>는 타우누스 시리즈를 잠시 떠나 '그동안과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는 그녀의 말처럼 여러가지 부분에서 기존 작품들과는 다른 느낌을 전해준다. 미스터리 소설을 잠시 벗어 내려놓고 청춘 성장 소설로 찾아온 넬레 노이하우스! 타우누스 시리즈의 상징처럼 느껴지던, 표지만으로도 아~~ 넬레 노이하우스! 타우누스 시리즈! 라고 느껴지던 모습들을 내려놓고 싱그러운 소녀의 모습으로 표지를 장식한다. 어떻게 다를까?

 

 

열다섯살 셰리든 그랜트의 뜨거웠던 여름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두번의 여름이 더 지나가는 동안 상처받고 아파했지만 찬란하기만한 소녀의 시간들을 그려낸다. 부모님의 사고로 고아가 된 두 살 셰리든은 미국 네브라스카주 페어필드 한 농장의 버넌 그랜트와 레이첼 그랜트 부부에게 입양되게 된다. 그랜트 집안은 명망있는 가문이었고, 셰리든에게는 네명의 오빠가 있었다. 열다섯이라~~ 우리 나라에도 이들 때문에 전쟁이 나지 않는다는 설도 있고, 그들의 뇌구조적 이상과 병적인 증상을 통틀어 중이병이라고 일컫기도 하는데... 이 소녀 셰리든 역시 그 병에 걸려 있는듯 싶다. ㅠ.ㅠ

 

그날, 나는 난생처음 유치장에 갇혔다.

이야기 시작부터 셰리든은 경찰서 유치장에 갇히게 된다. 자신을 데릴러온 아빠에게 서슴없이 '아빤 정말 빌어먹을 개 같은 놈...'이라는 망발을... ㅠ.ㅠ 셰리든은 음악적 재능을 타고 났지만 그녀의 양엄마는 그녀를 강박적으로 억압하고 엄하게 길렀다. 자신이 입양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불분명한 청춘의 분노와 갈등이 셰리든의 일상을 휘감는다. 셰리든의 삶의 목적은 18살이 되어 이 집을 떠나는 것이다. 셰리든의 첫사랑이던 제리가 어느날 돈을 벌기위해 떠나버리고 책을 통해 성적 환상이 커져가던 셰리든은 물빛 별장에서 농장의 일꾼이던 대니와 밀회를 갖게되지만 대니 마저도 떠나게된다.

 

내가 상상하는 엄마의 사악함은 초록색이다.

셰리든이 좋아하는 밴드활동과 뮤지컬 공연에 대해 엄마의 반대에 부딪히어 갈등이 생기고, 성에 눈을 뜬 셰리든은 또 다른 사랑이 아닌 일탈을 지속해나간다. 계속되는 엄마와의 갈등, 그 와중에 셰리든은 자신의 부모가 누구인지, 자신이 어떻게 그랜트 부부에게 입양되었는지 비밀을 조금씩 조금씩 파헤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 생각지도 못했던 반전이 셰리든을 기다린다. 성장소설의 틀을 빌렸지만 미스터리가 가지는 치밀하고 가슴 쫄깃하게 만드는 긴박감이 책속으로 빠져들게 만든다.

 

 

 

이 작품을 발표하면서 작가는 '넬레 뢰벤베르크'라는 이름을 썼다고 하는데, 이는 독자들에게 그녀의 이름과 타우누스 시리즈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시키기 위한 의도가 아니었을까 싶다. 그만큼 기존 소설과는 다르게 썼고, 독자들 역시 기존 소설과 다른 느낌을 갖기를 작가가 원했던 것이 아닌가 싶다. 작가의 의도는 그랬지만 국내 표지를 보자면 아쉽게도 여전히 넬레 노이하우스는 '백설공주에게....'와 함께 한다. 빼놓고 싶지만 그래도 빼놓을 수 없는... ^^

 

이 작품을 성장소설이라 말했다. 이 표현은 어쩌면 지극히 평범하게 포장한 것이고 조금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조금은 아침드라마적(?) 성격을 띄기에 충분하다. 쉽게 말해 막장도 이런 막장이 없다. 열다섯살의 순수함보다는 중이병이 제대로 걸리신 우리 나라로 따지면 껌 좀 씹고, 반창고 좀 부친 누나의 모습들이 그려지는데, 이거 살벌하다. 짝사랑에 가까운 첫사랑까지는 그렇다쳐도, 열다섯살이 농장의 일꾼을 상대로 첫경험을 하고, 오빠가 동생을 겁탈하려 하고, 성폭행에 낙태, 종교적인 문제에 불륜까지...

 

'나는 주인공을 온전히 보여줄 수 있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야기에 대한 몰입도와 가독성은 다른 타우누스 시리즈와 비교해도 절대 뒤지지 않을 것이다. 온전히 성과 사랑, 가족과 미래에 갈등하고 아파하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낸 것 또한 넬레 노이하우스만의 필치이기에 가능한 것이리라 생각되기도 하다. 자신의 존재를 찾기 위해 미스터리를 풀어내고 일기장에서 암호를 찾아내는 흥미진진한 셰리든의 활약은 마지막까지 긴장감 있는 무게와 속도감있게 그려진다.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즐거운 여정처럼 마지막 여름을 삼키는 소녀의 모습은 온전히 예전 넬레 노이하우스의 모습과 전혀 떼어놓을 수는 없으리라.

 

충분히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이야기들이 '열다섯'이라는 이름속에 등장한다. 물론 조금만 조금만 덜 자극적이었다면 조금은 더 편안하게 독서를 즐겼을 수도 있겠지만, 워낙 우리 주변에서 막장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아서일까 그에 대한 거부감과 선입견이 너무나 컷다는 생각이 들기도한다. 아이들을 둔 아빠라는 이름속에 갇혀서 그런 감정들이 더 해졌는지도 모를일이다. 중이병에 혹독하게 걸려버린 아이들의 행동을 반대편의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었다는 것도 하나의 수확이라면 수확이 아닐까.

 

 

가까이에서 중이병에 걸린 조카들을 지켜보면서 느꼈던 조마조마한 감정 역시 셰리든을 통해서도 느껴지는 걸 보면, 그만큼 이 작품에 대한 완성도 역시 짐작 가능할 것 같기도하다. 어쨌든 지금까지와는 다른 넬레 노이하우스의 다른 색깔을 담은 지극히 자극적인 성장소설이었다는건 확실해보인다. 온전히 주인공을 보여주고 싶었다는 작가의 의도 역시 확실히 반영된 작품이다. 여름을 집어 심어 삼키고 조금은 더 성장한 셰리든이 이제는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